학술논문
중증 뇌성마비아동의 문장 이해력 실태조사
이용수 1
- 영문명
- The Investigation into the real state of sentence comprehensive faculty for the children with severe cerebral palsy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정재권(Chung, Jae Kweon) 오찬교(Oh, Chan Tyo)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49권, 463~47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1.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증 뇌성마비아의 문장 이해력의 실태를 성별, 연령별, 장애유형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전, 대구, 전북 등 3개 지체부자유학교에 재학중인 중증 뇌성마비아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서울 장애인 종합복지관에서 제작한 문장 이해력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조사는 연구자가 학교를 방문하여 개별적으로 실시하여 얻은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중증 뇌성마비아의 문장 이해력은 성별에 차이가 없다.둘째, 중증 뇌성마비아의 문장 이해력은 6세보다 7세가 높다.셋째, 중증 뇌성마비아의 문장 이해력은 경련형 보다 비경련형이 높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al state of sentence comprehensive faculty for the children with severe cerebral palsy by age, sex, and disorder type. To attain this goal, we made a survey of the real state on 50 children with ssevere cerebral palsy who are attending the three schools for the handicapped, located in Daejeon, Daegu, and Jeonbuk. The examination sheets of sentence comprehensive faculty manufactured by Seoul General Wefare Center for the handicapped had been available as the inquiry instrument. The researchers made individual visits to the schools for investigation. The conclusions resulted from tho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difference of sentence comprehensive faculty between by sex. Second, the children aged 7 excels those aged 6 in the sentence comprehensive faculty. Third, the children with no convulsions are superior to those with the type of convulsions in the sentence comprehensive faculty.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al state of sentence comprehensive faculty for the children with severe cerebral palsy by age, sex, and disorder type. To attain this goal, we made a survey of the real state on 50 children with ssevere cerebral palsy who are attending the three schools for the handicapped, located in Daejeon, Daegu, and Jeonbuk. The examination sheets of sentence comprehensive faculty manufactured by Seoul General Wefare Center for the handicapped had been available as the inquiry instrument. The researchers made individual visits to the schools for investigation. The conclusions resulted from tho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difference of sentence comprehensive faculty between by sex. Second, the children aged 7 excels those aged 6 in the sentence comprehensive faculty. Third, the children with no convulsions are superior to those with the type of convulsions in the sentence comprehensive facul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조사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의 중증장애인 독립생활운동에 관한 고찰
- ICT활용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ICT활용능력의 관계 및 영향 비교
-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아의 감각기능에 미치는 효과
- 비구어 발달장애아의 보완ㆍ대체 의사소통 체계 적용 방안 고찰
- 맞춤형 폴리프로필렌 단하지보조기의 잔류응력측정 및 제거 방법
- 발달지체학생의 자율성 강화를 위한 사회적 문제해결과 의사결정기술 지도전략 탐색
- 중증 뇌성마비아동의 문장 이해력 실태조사
- 지체부자유 아동의 심리적 재활을 위한 미술치료
- 뇌성마비아동의 부모를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 지체부자유아 교육·자활사업 성립조건에 관한 국제 비교연구
- 노동시장에서의 장애인차별금지를 위한 연구
- 구조화된 인형의 집 놀이 활동이 장애유아의 자발발화에 미치는 효과
- 호흡 및 구강운동훈련이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의 자음정확도와 발성 호기 시간에 미치는 효과
- 중증 지체부자유학생을 위한 학교중심 건강관리 실태 및 지원체계 모형의 제안
- 직업재활과정에서 직업평가사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연구
- 장애유아 통합교육 관점에서 유치원 교육과정 분석
-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자녀 양육 경험 분석
- 성과중심 전환교육의 핵심영역인 자기결정 구성영역과 하위요소 탐색
- 특수교육에서의 치료교육과 관련서비스
- 중복·지체부자유 학생의 듀센형 근 위축 증후에 관한 고찰
- 지체장애인 재활보조기구 사용 실태와 만족도 및 일상생활 자립도
- Asperger Syndrome영재의 이해
- 사설 특수교육기관 내 저체중출생아와 정상체중출생아 현황 및 문제특성 조사
- 특수학교 치료교육 교사 양성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 지역사회통합 교육과정(CIS-C)이 발달장애학생의 지역사회적응기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전문성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디지털 놀이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