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체부자유아 교육·자활사업 성립조건에 관한 국제 비교연구
이용수 1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ditions for the Beginning of Education and Self-Support Work for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 Focusing on the Role of Orthopedists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the Early 20th Century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조원일(Cho, Won-Il)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49권, 181~20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체부자유아교육자활사업이 성립하는 20세기 초두에 일본과 미국의 정형외과의가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였는지에 관해 비교특수교육학적 관점에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 경우, 특수교육 성립의 보편적 기준으로 ‘근대인권사상’, ‘방법’, ‘사회적 효용성’의 관점에서 高木憲次에 의한 지체부자유 교육자활 실천의 의의를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지체부자유아교육자활사업이 성립되기 위해 상기 기준은 개별적인 동시에 삼위일체적으로 기능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지체부자유아교육자활의 성립에 있어 사회방위사상에 의한 사회통합적 가치가 최대의 사회현안이었던 미국사회와 달리, 동양적 사고에 기초해 ‘분리’와 ‘통합’에 대한 사회적 의의를 성찰해봄으로써, 탈서구주의이론을 넘어 우리나라 고유의 특수교육론의 구축 필요성에 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has attempted to examine the early role of orthopedists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rom the view of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special education. In particular, I have considered three issues which have been universal criteria concerning the conditions for the beginning of education and self-support work for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modern human rights, method for education and self-support, and social utility. The finding showed that it was essential for above three criteria to function synthetically forming a trinity for beginning of education and self-support work for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reason was that Japan s social attitude toward the poor disability people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hose primary aim was to protect public order from the social threat by them that was one of the most urgent problems to be solved in those days. Proceeding from what has been said above, I suggest that the Asian oriented fundamental study of special educa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made through reconsidering the value of segregation and inclusion based on our own cul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목차
Ⅰ. 서 론
Ⅱ. 이념적 측면: 지체부자유아교육에 있어 근대인권사상의 파급을 통한 차별적 패러다임의 탈피
Ⅲ. 방법적 측면: 정형외과의료 및 교육을 통한 지체부자유아 자활의 달성
Ⅳ. 사회적 효용성 측면: 신규 장애아교육사업의 선결조건으로서의 사회적 효용성과 검약론과의 길항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의 중증장애인 독립생활운동에 관한 고찰
- ICT활용교육 실행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ICT활용능력의 관계 및 영향 비교
- 감각통합훈련이 발달장애아의 감각기능에 미치는 효과
- 비구어 발달장애아의 보완ㆍ대체 의사소통 체계 적용 방안 고찰
- 맞춤형 폴리프로필렌 단하지보조기의 잔류응력측정 및 제거 방법
- 발달지체학생의 자율성 강화를 위한 사회적 문제해결과 의사결정기술 지도전략 탐색
- 중증 뇌성마비아동의 문장 이해력 실태조사
- 지체부자유 아동의 심리적 재활을 위한 미술치료
- 뇌성마비아동의 부모를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 지체부자유아 교육·자활사업 성립조건에 관한 국제 비교연구
- 노동시장에서의 장애인차별금지를 위한 연구
- 구조화된 인형의 집 놀이 활동이 장애유아의 자발발화에 미치는 효과
- 호흡 및 구강운동훈련이 경직형 뇌성마비아동의 자음정확도와 발성 호기 시간에 미치는 효과
- 중증 지체부자유학생을 위한 학교중심 건강관리 실태 및 지원체계 모형의 제안
- 직업재활과정에서 직업평가사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연구
- 장애유아 통합교육 관점에서 유치원 교육과정 분석
-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자녀 양육 경험 분석
- 성과중심 전환교육의 핵심영역인 자기결정 구성영역과 하위요소 탐색
- 특수교육에서의 치료교육과 관련서비스
- 중복·지체부자유 학생의 듀센형 근 위축 증후에 관한 고찰
- 지체장애인 재활보조기구 사용 실태와 만족도 및 일상생활 자립도
- Asperger Syndrome영재의 이해
- 사설 특수교육기관 내 저체중출생아와 정상체중출생아 현황 및 문제특성 조사
- 특수학교 치료교육 교사 양성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 지역사회통합 교육과정(CIS-C)이 발달장애학생의 지역사회적응기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