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소진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243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f-esteem between the Relationship of the Burnout and the Job Satisfaction of Professionals in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이병록(Byoung-Rock LEE)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8권3호, 107~11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소진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D광역시와 C도의 14개 장애인복지관에서 종사하는 전문인력 355명의 설문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와 AMOS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모형에 대한 적합성의 확인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활용했고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랩 검증을 실시하였다. 소진의 직무만족에 대한 유의미한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 감정노동의 관리, 적절한 슈퍼비전의 제공, 전문교육의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해 직무환경의 개선, 사회적 지지의 제공, 조직공정성의 향상 등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research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nout and the job satisfaction of professionals in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e disabled. This also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the two variables. A survey of 355 professionals in the 14 centers of D Metropolitan City and C Province was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professionals’ burnout influenced the job satisfaction negativel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the burnout and the job satisfaction was testified. Based on this analysis findings, some measures can be suggested to improve professionals’ job satisfaction. For the reduction of burnout, we need the management of emotional labor, the provision of proper supervision, and the activation of specialized education. To increase professionals’ self-esteem,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job environment, provide social support, and enhance organizational justi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유아 문제행동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
- 대학생의 강박신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가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가정폭력 연구 동향 분석
- 부모학대 경험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중학생의 자살생각과의 관계
- 중소기업 종사자들이 지각하는 여가자유 정도가 긍정-부정정서 강도와 여가 장애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학업무기력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감염병 대유행(코로나-19) 시대의 비대면 집단상담 사례연구
- 대학수업에서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학습몰입 및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소진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유치원 교사의 전문적 학습환경과 교사역량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 코로나19에 따른 대면서비스직 전공 대학생의 취업불안과 우울의 관계
- 유아교사의 소진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상담자의 동료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주제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인지장애 노인의 유튜브 기반 예술치료 참여에 따른 개인별 심리 및 생리 반응 분석
- 병원 조직문화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경험 탐색 : 예술기반연구
- 구조적 인생회고 기법과 결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노인의 노화불안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