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유아 문제행동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
이용수 470
- 영문명
- The Longitudinal Study of the Effect of Mother Parenting and Self-esteem on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이아름(Ah-Rem LEE)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8권3호, 117~13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유아 문제행동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ARCL)을 사용하여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및 유아 문제행동 간의 종단적 관계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어머니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이전 시점의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및 유아 문제행동은 이후 시점의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유아 문제행동을 각각 예측하였다. 둘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 자아존중감에, 어머니 자아존중감은 유아 문제행동에 각각 종단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어머니 자아존중감이 종단적으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유아 문제행동의 감소 및 예방을 위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감소와 어머니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influence of mother parenting stress and self-esteem on on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 self-esteem in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rearing stress and self-esteem and infant problem behavior, and mother-rearing stress and infant problem behavior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ARC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 parenting stress, self-esteem and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at the previous point predicted mother parenting stress, self-esteem and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at the later point. Second, mother parenting stress had a longitudinal influence on mother self-esteem. Also mother self-esteem had a longitudinal influence on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Third,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 of mother self-esteem was ident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parenting stress and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a parent education program was discussed for the prevention of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as well as longitudinal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of major variabl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유아 문제행동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
- 대학생의 강박신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가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가정폭력 연구 동향 분석
- 부모학대 경험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중학생의 자살생각과의 관계
- 중소기업 종사자들이 지각하는 여가자유 정도가 긍정-부정정서 강도와 여가 장애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학업무기력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감염병 대유행(코로나-19) 시대의 비대면 집단상담 사례연구
- 대학수업에서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학습몰입 및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소진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유치원 교사의 전문적 학습환경과 교사역량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 코로나19에 따른 대면서비스직 전공 대학생의 취업불안과 우울의 관계
- 유아교사의 소진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상담자의 동료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주제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인지장애 노인의 유튜브 기반 예술치료 참여에 따른 개인별 심리 및 생리 반응 분석
- 병원 조직문화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경험 탐색 : 예술기반연구
- 구조적 인생회고 기법과 결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노인의 노화불안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