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교사의 전문적 학습환경과 교사역량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156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er Competency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윤정아(Jeong-A YUN)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8권3호, 91~10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전문적 학습환경과 교사역량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대구·경북지역의 유치원 교사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역량은 전문적 학습환경 및 교사효능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은 전문적 학습환경과 교사역량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고 있었으며,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즉, 전문적 학습환경은 교사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의 교사역량을 높이기 위한 전문적 학습환경의 지원과 함께 교사교육과정에서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er competency. For this purpose, the surveys were conducted for 293 teachers from kindergarten,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3.5.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among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teacher competency, and teacher efficacy. Second, teacher efficacy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er competency.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has a direct effect on teacher competency, and indirectly affects teacher efficacy as a medium.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discussed ways to enhance teacher efficacy in the teacher education process along with support for a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to enhance teacher competency of kindergarten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유아 문제행동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력
- 대학생의 강박신념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가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가정폭력 연구 동향 분석
- 부모학대 경험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중학생의 자살생각과의 관계
- 중소기업 종사자들이 지각하는 여가자유 정도가 긍정-부정정서 강도와 여가 장애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학업무기력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감염병 대유행(코로나-19) 시대의 비대면 집단상담 사례연구
- 대학수업에서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학습몰입 및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소진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유치원 교사의 전문적 학습환경과 교사역량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 코로나19에 따른 대면서비스직 전공 대학생의 취업불안과 우울의 관계
- 유아교사의 소진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상담자의 동료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주제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판 단축형 예일음식중독척도 2.0(K-mYFAS 2.0) 타당화 연구
- 키워드 네트워크 기법을 활용한 노인 우울 연구 동향 분석
- 간호사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정서 억제를 통한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