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lications of the development of college writing centers in the U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김민희(Kim Minhee)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1권 6호, 255~28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미국 대학 글쓰기센터의 운영과 학술 이론의 발전과정을 개괄함으로 국내대학 글쓰기센터의 발전 방향성을 제시하였다.제시 사항은 다음과 같다.첫째,동료튜터링 제도에 관한 학술적 연구를 진행한다.둘째,글쓰기센터 운영 현장을 학술적인 연구의 장으로 인식하고 모든 활동에 대한 자료를 연구물로 남긴다.셋째,벤치마킹한 것과 교육이론을 현장에 적용하는 시범 테스트 후 내부자 관점의 연구로 발전시킨다.넷째,공론의 장으로 글쓰기센터 학회를 설립하고 전문학술지 발간을 모색한다.다섯째,글쓰기 이론과 교육 방법론이 현재 사회적 상황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관한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여섯째,글쓰기 네트워크의 국제적인 담론에참여한다.일곱째,글쓰기를 포함한 언어교육 전반에 대한 정부 재정지원을 요청하고개인적 기부문화를 활성화한다.본고에서 논의한 미국 대학 글쓰기센터의 발전에 관한 분석은 국내 대학 글쓰기센터 운영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학술적 발전에 기여하는토대를 제공해 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paper attempts to guide Korean college writing centers along the developmental path by recapitulating how American writing centers have been operating and how the relevant academic theories have progressed.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Proceed with academic research concerning the peer tutoring system. 2) Acknowledge that the writing center is a space for academic research and accumulate data regarding all activities. 3) After pilot testing the application of education theories and what has been benchmarked, develop a plan to research the method from the insider’s perspective. 4) Establish a writing center conference as a forum for academic arguments and seek the publication of a specialized scholarly journal. 5) Expand on the scope of research regarding how writing theories and methodologies inter-operate with current social conditions. 6) Participate in global discourse of the writing network. 7) Request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n terms of general language education that involves writing and revitalize the personal donation culture. The current paper s analysis of the development of college writing centers in the US will provide a foundation to contribute to academic development that verifies the validity of the ways Korean writing centers operate.
목차
1. 서론
2. 미국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발달 과정과 배경
3. 미국 글쓰기센터 발달 역사의 개괄
4.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픽모델링 분석을 활용한 학술지『 리터러시연구』연구 동향 분석
- 문화 문해력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지향점 고찰
- Post-truth 시대의 가짜 뉴스와 리터러시 교육의 중점
- 컴퓨터 리터러시가 대학생의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교과 연계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고찰
- 설화와 기록, 공간의 상호 읽기를 통한 서사적 기억의 생성 연구
- 중등 국어 수업을 위한 교사 사고구술 지침 개발
- 두 인종의 텍스트 대조 분석을 통해 발현한 인종리터러시
- 성찰 태도 촉진을 위한 플립러닝 기반의 비대면 수업 설계 및 효과 검증
- 미국 대학 글쓰기센터 발전과정의 함의
- 교양 국어 수업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필요성 연구
- 서구인의 기행문에 재현된 ‘동양적 자연’의 표상
- 작문 능력의 국제 비교를 위한 평가 준거 탐색
- 대학생 인성함양과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평가의 기능과 의미
- 국어 텍스트 난이도 분석 프로그램(KReaD)의 신뢰도 검증
- 여성(들) 뒤에 감춰진 집단의 역학 구조
- 삭제된 삽화와 원본
-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소통과 협력을 위한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 토의 담화에 나타난 언어 사용의 양상
- 실시간 피드백을 활용한 온라인 한국어 쓰기 수업 방안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광고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 이공계열 대상 실시간 원격 발표 수업의 운영
- 이성복 초기시의 서정과 서사 구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