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Writing Education Plans for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Using Peer Feedback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나은미(Na Eunmi)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리터러시 연구 11권 6호, 373~40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대학에서 동료의 피드백을 활용한 소통과 협력을 위한 글쓰기 방안을 제안한 것이다.글쓰기교육에서 동료의 평가에 대해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없는 것은 아니나,글쓰기 과정에서 일어나는 동료의 피드백에 대해서는 많은 선행 연구에서 학생필자와 피드백을 하는 학생 모두에게 효과적임이 입증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학생 필자의 자기 정보를 글감으로 하는 글에 동표 학생들이피드백을 하고,피드백에 대해 학생 필자가 다시 응답하도록 수업을 설계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상호간에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쓰기 결과를 출판함으로써 저자의식을 갖게 하고,출판 준비 과정에서 소통과 협력의 중요성을 배울 기회를 제공하였다.학기말에 자신의 손에 쥐어진책을 통해 학생들은 성취감을 느낄 수 있으며,소통과 협력의 결과를 체험하게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was written to propose writing plans for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using peer feedback in universities. While there are voices of concern with regard to peer evaluations in writing education, many previous studies have proven that peer feedback in writing processes is effective for writers and those providing feedback alike. In this paper, the author proposed ways for learners to active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designing a class in which peer students provide feedback on written texts of the information of the student writers. It also provided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learn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preparation for publication by publishing the writing results. Also, it provided students with writer consciousness by publishing their writing results and with the opportunity to learn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publication preparation processes. Through books that come into their possession at the end of the semester, students can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experience the products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목차
1. 도입
2. 동료 평가와 피드백의 개념 및 효과
3. 소통과 협력을 위한 글쓰기 수업 설계
4. 온라인 댓글 피드백과 교실 수업의 운영 사례
5. 마무리 및 남은 문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토픽모델링 분석을 활용한 학술지『 리터러시연구』연구 동향 분석
- 문화 문해력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지향점 고찰
- Post-truth 시대의 가짜 뉴스와 리터러시 교육의 중점
- 컴퓨터 리터러시가 대학생의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교과 연계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고찰
- 설화와 기록, 공간의 상호 읽기를 통한 서사적 기억의 생성 연구
- 중등 국어 수업을 위한 교사 사고구술 지침 개발
- 두 인종의 텍스트 대조 분석을 통해 발현한 인종리터러시
- 성찰 태도 촉진을 위한 플립러닝 기반의 비대면 수업 설계 및 효과 검증
- 미국 대학 글쓰기센터 발전과정의 함의
- 교양 국어 수업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필요성 연구
- 서구인의 기행문에 재현된 ‘동양적 자연’의 표상
- 작문 능력의 국제 비교를 위한 평가 준거 탐색
- 대학생 인성함양과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평가의 기능과 의미
- 국어 텍스트 난이도 분석 프로그램(KReaD)의 신뢰도 검증
- 여성(들) 뒤에 감춰진 집단의 역학 구조
- 삭제된 삽화와 원본
-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소통과 협력을 위한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 토의 담화에 나타난 언어 사용의 양상
- 실시간 피드백을 활용한 온라인 한국어 쓰기 수업 방안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광고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 이공계열 대상 실시간 원격 발표 수업의 운영
- 이성복 초기시의 서정과 서사 구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