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Perspective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s of Case Law Principles Related to Terra Nullius in Courts in the Common Law Jurisdiction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강병근(Kang Pyoung Keun)
- 간행물 정보
- 『법학연구』第31卷 第2號, 41~80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lthough international lawyers are very familiar with the concept of occupation as one of the modes of territorial acquisition by sovereign states, it is not easy for them to pinpoint the nature of such concept. When the Christian states in the Western Europe rushed in for the competition of expanding their territories through colonization, they thought that they had a right to acquire newly discovered territories because those lands belonged to no other foreign states, that is, terra nullius. However, there were natives occupying those lands well before the European settlement, Many courts in the jurisdictions influenced by the English common law decided that such natives did not have proprietary and possessory rights in land. In 1823, the U.S. Federal Supreme Court differentiated the law of the nations and the law applicable to the Indians in the North America. The Court characterized the Indian title to land as usufructuary to the effect that it burdened the British Crown land. In 1888, the Privy Council of the British Empire decided that the effects of the Indian titles to land continued until the lands of the native Indians were transferred by cession or sale to the Government of Canada. In 1992, the highest court of Australia slightly changed its attitudes towards the common law principles on terra nullius by deciding that its prior decisions as to the land title of the natives were no longer sustainable because of their discriminatory and racial nature. The underlying concept of terra nullius still lingers on in judgments by the courts in Canada. In 2014, the highest court of Canada reaffirmed their long line of decisions reflecting jurisprudence of the English common law developed by the British Empire. The World knows that there are no such thing as terra nullius. However, the colonialism arising out of the concept of terra nullius still haunts in the states whose territories were based on the lands of native occupants.
목차
I. 서론
II. 미국의 Johnson v. M’Intosh 사건
III. 영국의 남로디지아 사건
IV. 캐나다의 St. Catherine s 사건
V. 호주의 Mabo 사건
VI. 캐나다의 칠코틴 인디안 사건
VII.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0 대한민국 인권의 지평
- 중국 계획출산정책과 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승계적 공범에 대한 고찰
- 원격의료의 실현을 위한 입법 개선에 관한 소고
- 한국 법제도의 타율성과 자주성
- 계약에 근거한 입찰참가자격제한에 대한 사법심사
- 독일의 외국인투자 심사제도 및 시사점
- 이슬람 금융에 대한 규제와 감독에 관한 연구
- 독일의 표본확인소송절차
- 실체가 지배하는 재판에서 절차가 지배하는 재판으로
- 가맹사업법 적용배제 기준에 관한 연구
- 시용관계 혹은, 수습근로관계 등을 둘러싼 법적 쟁점에 관하여
- 영미법계 각국 법원의 무주지(terra nullius) 관련 판례법 원칙의 역사적 전개에 관한 일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