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Germany s Foreign Investment Screening System and Implication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신상우(Shin, Sang Woo)
- 간행물 정보
- 『법학연구』第31卷 第2號, 135~16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the European Union and the United States are tightening regulations on foreign investment to protect their own industries and national security. Germany is also revising the law on investment screening, such as the scope of foreign investors screening and the limit of ownership of shares, from 2009 to now to protect its own industries and technologies from China s advanced investment strategy. China has designated a strategic economic area as part of its 2015 industrial policy plan, through which it is attempting to take over shares of German high-tech industries and security-sensitive companies to participate in management or to completely purchase such companies. Moreover, China s investment strategy includes not only the military industry, but also most of the industrial sectors that play a key role in the modern economy. Korea has ground rules for regulating foreign investment that can seriously affect national security through the revision of the Foreign Investment Promotion Act. However, despite the provisions of grounds for foreign investment, there are problems with the foreign investment screening system. Above all, the scope of the foreign investment screening system under the Foreign Investment Promotion Act of Korea is limited to national defense, military and confidential matters, so the scope is very narrow, and the new future technologies, health care, and advanced technologies are recently included in the scope of protection worldwide. Technology, etc. are excluded from regula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foreign investment screening system stipulated in the German Foreign Economic Law and the Foreign Economic Ordinance, and intend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it while comparing and examining the related systems stipulated in the Foreign Investment Promotion Act in Korea. It is meaningful in responding to international trends on the one hand and protecting domestic industries and enterprises on the other.
목차
Ⅰ. 서론
Ⅱ. 독일의 외국인투자 심사제도
Ⅲ. 국내 외국인투자 심사제도의 규제 현황과 시사점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0 대한민국 인권의 지평
- 중국 계획출산정책과 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승계적 공범에 대한 고찰
- 원격의료의 실현을 위한 입법 개선에 관한 소고
- 한국 법제도의 타율성과 자주성
- 계약에 근거한 입찰참가자격제한에 대한 사법심사
- 독일의 외국인투자 심사제도 및 시사점
- 이슬람 금융에 대한 규제와 감독에 관한 연구
- 독일의 표본확인소송절차
- 실체가 지배하는 재판에서 절차가 지배하는 재판으로
- 가맹사업법 적용배제 기준에 관한 연구
- 시용관계 혹은, 수습근로관계 등을 둘러싼 법적 쟁점에 관하여
- 영미법계 각국 법원의 무주지(terra nullius) 관련 판례법 원칙의 역사적 전개에 관한 일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