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uman Rights in Korea : A Landscape of 2020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안경환(Ahn, Kyong Whan)
- 간행물 정보
- 『법학연구』第31卷 第2號,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essay is a wide-scope observation on the human rights issues in Korea as of 2020. To feature a panoramic view of the landscape, the author combines academic theories with relevant field reports. He opens the paper by citing Bartleby, the Scrivener(by Herman Melville), to put the perception of alienation as the prime cause of human rights problems in a global capitalistic society like Korea. On the level of constitutional value, harmonic balance between liberty and equality are emphasized. Considering that Korea has subatantially established herself as a free and democratic society, the author argues that, from now on, Economic and Social Rights should be more jeolously promoted. The author emphasizes ,in that line, that government policies and judiciary dicisions should be more geared toward futuristic approaches on evolving standards. Ideological battles between the two Koreas that haunted their people for the last 70 years can be ameliorated only by making (South) Korea a more egalitarian society. Added to various existing categories of underprivileged classes, new immigrants may be singled out as the category worthy of attention. Protecting and promoting the rights of their rights emeges as the most pivotal task in preventing danger of mass producing of the second-class citizens in Korea, which has taken an irrevocable, rapid journey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out the entire paper, the author cites many classical literary works dealing with pertinent human rights issues. A Tale of Two Cities (Charles Dickens) Animal Farm(George Orwell) and La Peste (Albert Camus) are some examples. As a closing passage, the author emphasizes that the juristic inertia limiting human rights discourses within pure legal framework should readily be abandoned.
목차
Ⅰ. 머릿글 : 인간과 인권
Ⅱ. 인권담론
Ⅲ. 맺음말 : 법적 인권담론을 넘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0 대한민국 인권의 지평
- 중국 계획출산정책과 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승계적 공범에 대한 고찰
- 원격의료의 실현을 위한 입법 개선에 관한 소고
- 한국 법제도의 타율성과 자주성
- 계약에 근거한 입찰참가자격제한에 대한 사법심사
- 독일의 외국인투자 심사제도 및 시사점
- 이슬람 금융에 대한 규제와 감독에 관한 연구
- 독일의 표본확인소송절차
- 실체가 지배하는 재판에서 절차가 지배하는 재판으로
- 가맹사업법 적용배제 기준에 관한 연구
- 시용관계 혹은, 수습근로관계 등을 둘러싼 법적 쟁점에 관하여
- 영미법계 각국 법원의 무주지(terra nullius) 관련 판례법 원칙의 역사적 전개에 관한 일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