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ritical Review of Successional Accomplice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이진수(Lee, Jin Soo)
- 간행물 정보
- 『법학연구』第31卷 第2號, 257~290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term “successional accomplices” refers to an accomplice participating in a crime after initiation by the principal. Successional accomplices include successional co-principals and successional accessories. The two key issues surrounding successional accomplices are the establishment of participators as successional accomplices, and their scope of criminal liability. Post participators as successional accomplices can be said to have succeeded the results of elements of crime initiated by the principal since they were aware of and participated in part of the act committed by the principal. They should be held liable only for areas of results of the elements of crime that they have a casual effect on. In this case, post participators assume responsibility as successional co-principals or accessories for occurrences after particip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re was functional criminal act control with the principal. Meanwhile, the specific scope of criminal liability of post participators should b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divisibility of crime. Where post participators have participated in an indivisible crime, they must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 entire crime. This principle should apply not only to cases in which elements are undefined for acts involving post participators, but also cases where special laws different from general elements have been established. This can be seen as legislators having expressed their view that independent meaning is not achieved when separated from the whole. Here, post participators should be acknowledged only as accessories regardless of their form of participati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승계적 공범에 대한 논의 상황 개관
Ⅲ. 승계적 공범에 관한 일본에서의 논의상황
Ⅳ. 승계적 공범에서 제기되는 쟁점들에 대한 세부적 고찰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0 대한민국 인권의 지평
- 중국 계획출산정책과 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승계적 공범에 대한 고찰
- 원격의료의 실현을 위한 입법 개선에 관한 소고
- 한국 법제도의 타율성과 자주성
- 계약에 근거한 입찰참가자격제한에 대한 사법심사
- 독일의 외국인투자 심사제도 및 시사점
- 이슬람 금융에 대한 규제와 감독에 관한 연구
- 독일의 표본확인소송절차
- 실체가 지배하는 재판에서 절차가 지배하는 재판으로
- 가맹사업법 적용배제 기준에 관한 연구
- 시용관계 혹은, 수습근로관계 등을 둘러싼 법적 쟁점에 관하여
- 영미법계 각국 법원의 무주지(terra nullius) 관련 판례법 원칙의 역사적 전개에 관한 일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