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egislation for the Realization of Telemedicine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김나래(Kim Na Rae)
- 간행물 정보
- 『법학연구』第31卷 第2號, 81~10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elemedicine refers to all activities in which medical providers and medical consumers at a distance deliver medical information and medical services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is is an effective way to provide high-quality medical services to patients in areas where medical information or medical services are not sufficiently provided, chronic patients who need regular treatment and care, elderly people who are unable to frequent hospitals due to poor mobility, and patients who need emergency care in urgent situations. In Korea, however, the pros and cons of telemedicine have been tense so far, and the medical law only allows telemedicine between doctors and dotors, but does not allow telemedicine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The recent spread of COVID-19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non-face-to-face activity, with the government moving to repromote allowing telemedicine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and the medical community is keeping an eye on the trend. For a long time, the government introduced a bill to the National Assembly but failed to implement it due to strong opposition from the medical community because of concerns that the safety of telemedicine cannot be guaranteed and that it will accelerate the collapse of the medical delivery system. In order to dispel these concerns, it is urgent to draw up legislation to effectively enforce telemedicine. Most of all, it is necessary to lay the foundation for safe implementation of telemedicine by expanding the allowable range of telemedicine, clarifying the types of patients to which telemedicine is allowed, establishing accurate classification standards for medical institutions that can implement telemedicine, supplementing the responsibilities of telemedicine doctors, and strengthening the privacy regulations for telemedicine.
목차
Ⅰ. 서론
Ⅱ. 원격의료의 허용범위
Ⅲ. 원격의료에 관한 입법 동향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0 대한민국 인권의 지평
- 중국 계획출산정책과 법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승계적 공범에 대한 고찰
- 원격의료의 실현을 위한 입법 개선에 관한 소고
- 한국 법제도의 타율성과 자주성
- 계약에 근거한 입찰참가자격제한에 대한 사법심사
- 독일의 외국인투자 심사제도 및 시사점
- 이슬람 금융에 대한 규제와 감독에 관한 연구
- 독일의 표본확인소송절차
- 실체가 지배하는 재판에서 절차가 지배하는 재판으로
- 가맹사업법 적용배제 기준에 관한 연구
- 시용관계 혹은, 수습근로관계 등을 둘러싼 법적 쟁점에 관하여
- 영미법계 각국 법원의 무주지(terra nullius) 관련 판례법 원칙의 역사적 전개에 관한 일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