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한 소화 벽지의 개발
이용수 24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Fire-Extinguishing Wallpaper Containing Microcapsule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이상섭(Sang-Sub Lee) 김창홍(Chang-Hong Kim) 김민철(Min-Chul Kim) 김종상(Jong-Sa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4 No.6, 59~63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의 화재 사건들을 보면 노래방, 고시원 같은 좁고 밀폐된 공간에서의 화재만이 아니라 목욕탕, 물류창고 등넓은 공간에서의 화재가 발생하며, 특히 좁은 공간에서의 화재는 벽지를 통해 급격한 화재 확산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대량의 유독가스로 인해 골든타임이 단축되고, 현장에서 대피하지 못해 많은 인명피해가 일어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불에 잘 타지 않는 방염성을 부여한 다양한 벽지가 개발되고 있지만, 방염 성분이 일반 벽지보다 5배이상의 CO를 배출해 더 심각한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길 확산의 주원인인 벽지에 소화 성능을 함유시켜 화재 발생 시 대피 시간 증가 및 불길 확산 억제의 효과를 기대하는 소화 벽지를 개발했다. 일반 물풀에소화용 마이크로 소화 캡슐을 함유해 일반 벽지의 전소 시간을 2 min에서 5 min으로 증가함을 확인했으며, 벽지 뒷면에 마이크로 소화 캡슐을 점착제 형태로 부착 후 전소 Test 및 45° 난연 시험에서 소화 유효성을 확인했으며, 열중량 분석(TGA)를 통해 반응 시작온도, Peak point, 반응 종료 온도 및 중량감소율을 확인하여 접착성 필름의 열적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시중의 방염 벽지와의 연기밀도를 비교해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 wallpaper with fire-extinguishing properties was developed. This wallpaper is expected to increase theevacuation time and suppress the spread of flames in case of fire. It was confirmed that the fire-extinguishing time of anordinary wallpaper can be increased from 2 to 5 min by incorporating micro-extinguishing capsules in the general waterpool. After attaching microfire-extinguishing capsules in the form of a film on the back of the wallpaper, a burning testusing a torch and 45° flame retardant digestion was performed, and the therm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film were verifiedbased on the reaction start temperature, peak point, reaction end temperature, and weight reduction rate throughthermogravimetric analysis.
목차
1. 서 론
2. 본 론
3. 결 론
후 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임소방공무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진압실패확률에 대한 밸브 기여도의 정량적 분석
- 비화재보로 인한 오인출동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한 소화 벽지의 개발
- 과충전에 의한 파우치형 리튬이온전지의 열폭주 발생 특성에 관한 실험연구
- 설문 조사를 통해 알아본 재난현장 구급 대응 훈련 분석
- 국내·외 비화재보 관계법령 비교 분석
- 화재조사현장 호흡가스 유해물질 분석 기초연구
- 방사선 열화가 안전등급 케이블 화재에 미치는 영향
- 반응시간 최소화를 위한 피난구 유도등 제작 기준 개발 - Part I
- 에틸 알코올을 포함한 손소독제 위험성 평가 및 분류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소방 공무원의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초고층 건축물 피난안전구역의 비상방송음 음성명료도 예측 및 평가
- 포소화약제 혼합장치의 시험용 대체 약제에 관한 연구
- 기존 고층 건축물 화재안전성능평가 기반건축물 방화구획 및 소방시설 유지관리 실태조사
- 수막형성기술을 활용한 가연성 복합패널 화재확산 방지 시스템 개발
- 로봇의 내열성 강화를 위한 부착형 스킨 개발
- 소방공무원 심신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적합성 평가
- 소방공무원 국가직화에 따른 소방조직운영 효율화 방안 연구
- 반응시간 최소화를 위한 피난구 유도등 제작 기준 개발- Part II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International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IJFSE) Vol. 39, No. 2 Contents
- Comparative Study on Validation of Multi-Step Chemical Reaction Model in Fire Simulation
-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in a Fully Developed Compartment Fire by Water Appli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