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방공무원 심신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적합성 평가
이용수 143
- 영문명
- Assessing the Suitability of Virtual Reality Content for Stress Reduction among Firefighter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박태희(Tae-Hee Park) 이지향(Ji-Hyang Lee) 김수영(Su-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4 No.6, 154~162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재난현장이 다변화함에 따라 소방활동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소방공무원은 근무 중 긴장과 불안이 형성되어있으며 수면 부족, 만성 피로 등 직무 스트레스에 노출되어있다. 소방공무원은 재난현장에서 겪게 되는 신체적·정신적 손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고 있으며, 시·도 소방서에서는 일차적인 회복지원을 위해 심신안정실을설치·보급하고 있으나, 과학적인 효과검증의 부족과 낮은 활용도로 본래의 기능 목적과 다르게 운영되고 있다. 최근 가상현실을 통한 정신적 개입으로 스트레스 저감, 우울증 치료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VR 콘텐츠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해 이동식 심신안정실을 구축하여 소방공무원 124명에게 운용하였다. 정성적 분석결과에서 효과성이 나타났으나, 정량적 분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영문 초록
As disaster sites diversify, the need for firefighting is steadily increasing. The stress and anxiety experienced byfirefighters at work can cause lack of sleep and chronic fatigue. Firefighters are at risk of suffering from post-traumaticstress disorders due to the physical and mental injuries experienced at disaster sites; accordingly, fire departments withineach province have set up mental and physical stability rooms to support primary recovery. However, due to lack ofscientific effect verification and low utilization rate, these rooms are currently used for purposes other than their intendeduse. Virtual reality (VR) has recently been used as an intervention for stress reduc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n order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VR content, a mobile mental and physical stability room was constructed and operated on124 firefighters.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analysis showed an effect on stress, but the quantitative analysis revealed nosignificant difference.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및 시작품 구축
3. 심신안정실 VR 콘텐츠 실증결과
4. 결론 및 제언
후 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임소방공무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진압실패확률에 대한 밸브 기여도의 정량적 분석
- 비화재보로 인한 오인출동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한 소화 벽지의 개발
- 과충전에 의한 파우치형 리튬이온전지의 열폭주 발생 특성에 관한 실험연구
- 설문 조사를 통해 알아본 재난현장 구급 대응 훈련 분석
- 국내·외 비화재보 관계법령 비교 분석
- 화재조사현장 호흡가스 유해물질 분석 기초연구
- 방사선 열화가 안전등급 케이블 화재에 미치는 영향
- 반응시간 최소화를 위한 피난구 유도등 제작 기준 개발 - Part I
- 에틸 알코올을 포함한 손소독제 위험성 평가 및 분류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소방 공무원의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초고층 건축물 피난안전구역의 비상방송음 음성명료도 예측 및 평가
- 포소화약제 혼합장치의 시험용 대체 약제에 관한 연구
- 기존 고층 건축물 화재안전성능평가 기반건축물 방화구획 및 소방시설 유지관리 실태조사
- 수막형성기술을 활용한 가연성 복합패널 화재확산 방지 시스템 개발
- 로봇의 내열성 강화를 위한 부착형 스킨 개발
- 소방공무원 심신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적합성 평가
- 소방공무원 국가직화에 따른 소방조직운영 효율화 방안 연구
- 반응시간 최소화를 위한 피난구 유도등 제작 기준 개발- Part II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International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IJFSE) Vol. 39, No. 2 Contents
- Comparative Study on Validation of Multi-Step Chemical Reaction Model in Fire Simulation
-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in a Fully Developed Compartment Fire by Water Appli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