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방사선 열화가 안전등급 케이블 화재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9
- 영문명
- Effect of Radiation Deterioration on Class 1E Cable Fire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김민호(Min Ho Kim) 이석희(Seok Hui Lee) 이상규(Sang Kyu Lee) 이주은(Ju Eun Lee) 이민철(Min Chul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4 No.6, 1~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안전등급 케이블 1종에 대해 방사선 열화가 케이블 화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콘 칼로리미터 시험(ISO 5660-1)을 통한 연소특성 및 연기특성을 비교하였고 NES 713 규격에따라 연소 시 방출되는 독성가스에 대한 독성지수를 분석하였다. 방사선 조사 케이블의 최대 열방출률이 비방사선 조사케이블보다 약 38 kW/m2 높게 측정되었으며 비방사선 조사 케이블과는 다르게 다르게 일부 시간대에서 일시적으로열방출률이 증가하였다. 이는 char층의 불안정한 형성이 지속적인 열 침투 및 열분해를 일으킨 것으로 판단된다. 방사선 조사 케이블의 총 열방출률은 비방사선 조사 케이블에 비해 약 2.2배 높게 측정되었으며, 그에 따른 총 질량감소는 약 2.8% 증가하였다. 연기특성의 경우, Smoke parameter는 방사선 조사 케이블이 약 2.3배 높은 값이 측정되었으며, Smoke factor의 경우 방사선 조사 케이블이 약 3.8배 높게 측정되었다. 독성지수의 경우 비방사선 조사 케이블은CO만 치사농도 이상으로 측정되었으나, IR 케이블에서는 CO뿐만 아니라 HBr도 치사농도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effect of radiation deterioration on cable fire for a type of class 1E cable for a nuclear power plantwas investigated. Combustion and smok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via a cone calorimeter test (ISO 5660-1), and thetoxicity index of the toxic gas emitted during combustion was analyzed by following the NES 713 standard. The peak heatrelease rate of the irradiated cable was measured to be approximately 38 kW/m2 higher than that of the non-irradiated cable. Additionally, the heat release rate of the irradiated cable temporarily increased during a certain period. This can be ascribedto the continuous pyrolysis and heat penetration as a result of the unstable formation of the char layer. The total heat releaseof the irradiated cable was measured to be approximately 2.2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non-irradiated cable. Acorresponding increase of ~2.8% in the total mass loss was observed. In the case of smoke characteristics, the irradiatedcable was measured to be 2.3 times higher in the smoke parameter and 3.8 times higher in the smoke factor comparedto the non-irradiated cable. For the toxicity index, only CO was detected above the critical factor in the non-irradiated cable,whereas both CO and HBr were detected above their critical factors in the irradiated cable.
목차
1. 서 론
2. 시험재료 및 방법
3. 시험결과
4. 결 론
후 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임소방공무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진압실패확률에 대한 밸브 기여도의 정량적 분석
- 비화재보로 인한 오인출동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한 소화 벽지의 개발
- 과충전에 의한 파우치형 리튬이온전지의 열폭주 발생 특성에 관한 실험연구
- 설문 조사를 통해 알아본 재난현장 구급 대응 훈련 분석
- 국내·외 비화재보 관계법령 비교 분석
- 화재조사현장 호흡가스 유해물질 분석 기초연구
- 방사선 열화가 안전등급 케이블 화재에 미치는 영향
- 반응시간 최소화를 위한 피난구 유도등 제작 기준 개발 - Part I
- 에틸 알코올을 포함한 손소독제 위험성 평가 및 분류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소방 공무원의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초고층 건축물 피난안전구역의 비상방송음 음성명료도 예측 및 평가
- 포소화약제 혼합장치의 시험용 대체 약제에 관한 연구
- 기존 고층 건축물 화재안전성능평가 기반건축물 방화구획 및 소방시설 유지관리 실태조사
- 수막형성기술을 활용한 가연성 복합패널 화재확산 방지 시스템 개발
- 로봇의 내열성 강화를 위한 부착형 스킨 개발
- 소방공무원 심신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적합성 평가
- 소방공무원 국가직화에 따른 소방조직운영 효율화 방안 연구
- 반응시간 최소화를 위한 피난구 유도등 제작 기준 개발- Part II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