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반응시간 최소화를 위한 피난구 유도등 제작 기준 개발- Part II
이용수 76
- 영문명
-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Production of an Exit Sign Lighting to Minimize Human Reaction Time - Part II: Combination of Graphical Symbol Colour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오륜석(Ryun-Seok Oh) 최준호(Jun-Ho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4 No.6, 51~5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비상상황에서 유도등은 올바른 피난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알려줌으로써 재실자의 피난소요시간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유도등의 인지성이 뛰어날수록 재실자에게 대피경로정보를 명료하게 제공하여 결국엔 경로선택과 이동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시켜 주므로 전체 피난시간을 줄여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시광선 영역에 있는 27가지의 유도등 그래픽 심볼 색조합을 대상으로 인간의 반응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유도등에 대한 반응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그래픽 심볼 색조합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현재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고있는 녹색과 흰색 바탕색의 색조합이 가장 반응시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emergency situations, exit sign lightings play a role in reducing evacuation time for occupants by providing accurateand prompt information on the correct evacuation direction.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better the recognitionof exit sign lighting, the greater the probability of securing the safety of life because the evacuation route information isgiven to the occupants and eventually the time taken for route selection and movement is shortened. In this study, humanreaction time was measured for 27 kinds of graphic symbol color combinations of exit sign lightings in the visible lightregion, and through this, a graphic symbol color combination that can minimize reaction time to exit sign lightings wasderiv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olor combination of green and white background color, which is currentlymainly used in Korea, has the shortest reaction time.
목차
1. 서 론
2. 유도등 그래픽 심볼의 색조합과 인지성
3. 유도등 그래픽 심볼의 색조합에 따른 반응시간 측정 방법
4. 유도등 그래픽 심볼 색조합에 따른 반응시간 분석
5. 결 론
후 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신임소방공무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
-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진압실패확률에 대한 밸브 기여도의 정량적 분석
- 비화재보로 인한 오인출동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한 소화 벽지의 개발
- 과충전에 의한 파우치형 리튬이온전지의 열폭주 발생 특성에 관한 실험연구
- 설문 조사를 통해 알아본 재난현장 구급 대응 훈련 분석
- 국내·외 비화재보 관계법령 비교 분석
- 화재조사현장 호흡가스 유해물질 분석 기초연구
- 방사선 열화가 안전등급 케이블 화재에 미치는 영향
- 반응시간 최소화를 위한 피난구 유도등 제작 기준 개발 - Part I
- 에틸 알코올을 포함한 손소독제 위험성 평가 및 분류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소방 공무원의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초고층 건축물 피난안전구역의 비상방송음 음성명료도 예측 및 평가
- 포소화약제 혼합장치의 시험용 대체 약제에 관한 연구
- 기존 고층 건축물 화재안전성능평가 기반건축물 방화구획 및 소방시설 유지관리 실태조사
- 수막형성기술을 활용한 가연성 복합패널 화재확산 방지 시스템 개발
- 로봇의 내열성 강화를 위한 부착형 스킨 개발
- 소방공무원 심신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 적합성 평가
- 소방공무원 국가직화에 따른 소방조직운영 효율화 방안 연구
- 반응시간 최소화를 위한 피난구 유도등 제작 기준 개발- Part II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