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역서류의 전자화에 따른 법제도적 과제
이용수 199
- 영문명
- A Study on the Legal Issues Involved Digitalization of Trade Documents - Focusing on the Electronic Promissory Note Act -
- 발행기관
- 한국국제상학회
- 저자명
- 김성후(Seong-Hoo Kim) 한낙현(Nak-Hyun Han)
- 간행물 정보
- 『국제상학』國際商學 第35卷 第4號, 3~2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통적으로 중앙 집중식 운영 모델에서는 무역 금융과 거래자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방식을 관리했다. 그러나 분산원장기술(DLT)로서 블록체인은 점점 더 주목을 받고 있으며 신용장(L/C)으로 지불하는 것과 같은 기존 금융절차를 붕괴시킬 가능성이 있다. 국제무역 행위자는 블록체인 및 스마트계약 기반 플랫폼의 구현을 통해 금융 프로세스의 기술 리엔지니어링의 이점을 누릴 수 있다. 한편 전자 환어음의 사용은 문서화 절차를 간소화함으로써 매도인과 매수인 모두에게 혜택을 제공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전자어음법에 따르면 전자어음의 발행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자환어음과 관련하여 위 법의 법적 쟁점과 개정 방향을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egal and institutional issues involved digitalization of trade documents considering how they are linked to the Electronic Promissory Note Act.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Electronic trade documents were examin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academic papers, and internet data were analyzed.
Results : Traditionally, the centralized operating model has governed trade finance and the manner in which traders handle business processes. However, blockchain, as a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DLT), has attracted growing attention and has the potential to disrupt legacy finance procedures such as payment by letter of credit (L/C).
Conclusions : International trade players may benefit from the technological reengineering of financial processe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blockchain- and smart contract-based platforms. In other words, the use of the electronic bill of exchange can be beneficial to both sellers and buyers in streamlining the documentation process. However, under the Electronic Promissory Note Act, it is impossible to issue electronic bills of exchange in Korea. This study reviews the legal issues arising from the above Act and suggests directions for the revision of the Act focusing on electronic bills of exchange.
목차
Ⅰ. 서 론
Ⅱ. 블록체인기반의 무역서류 전자화
Ⅲ. 전자어음을 중심으로 한 무역서류의 전자화와 법제도
Ⅳ. 전자무역서류와 법제도에 대한 시사점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린 뉴딜 시대 대비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발틱운임지수(BDI) 예측 연구
- 물류기업의 물류 4.0 기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 연구
- 국내 항만 물류연구 동향분석: Systematic Literature Network Analysis의 적용
- 스마트 물류 구현을 위한 핵심기술과 적용동향에 관한 연구
- 연료유 바지선 순회 공급 활성화 방안 연구
- 코로나19 하에서 글로벌 공급사슬 위험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3)4)
- 해상운송계약상 운송인의 감항능력주의의무 입증책임에 관한 연구
- 이질성 시각에서의 축산물 수출을 위한 사회적 선호 비교 분석
-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통상정책 변화
- 우리나라의 국제도로운송 진출을 위한 TIR 제도에 관한 연구
- 무역서류의 전자화에 따른 법제도적 과제
- 코로나 19에 따른 공급사슬관여가 농림 슈퍼마켓유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한-중 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PSR) 엄격성 차이에 관한 연구
- 미국 반도체과학법의 시행에 대한 연구: 한국에 미치는 입법적 동향의 관점에서
- 중국의 분쟁해결의 실무에서 다단계분쟁해결조항의 적용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