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료유 바지선 순회 공급 활성화 방안 연구
이용수 14
- 영문명
-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Circuit Fuel Oil Supply from Barge Ships
- 발행기관
- 한국국제상학회
- 저자명
- 안영균(Young-Gyun Ahn) 이민규(Min-Kyu Lee)
- 간행물 정보
- 『국제상학』國際商學 第35卷 第4號, 211~22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0년 1월 1일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의 황산화물(SOx) 규정이 발효되었다. SOx 규정은 선박에 급유되는 선박연료유의 황산화물 함유량을 0.5% 이하로 규제하는 것으로, 동 규정이 발효되기 이전에는 함유량이 3.5% 이하로 규제되어 왔다. 전례 없는 선박용 연료의 대전환이 시작돼 전 세계 7만척 이상의 선박이 규제 적합유로의 전환을 수행 중에 있다. IMO의 SOx 규정 발효를 배경으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연료유 바지선의 면세 현황과 주요국 동향을 검토하고 순회 공급 활성화 방안을 검토하였다. 순회 공급이 활성화되면 국적 선사들이 안정적으로 선박벙커유를 조달받고, 우리나라 주요 항만들이 국내외 주요 선사들이 벙커링을 위해 선호하는 항만이 되어 저유황유 시대를 선도하는 글로벌 벙커링 거점 항만으로 도약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020년 발효된 SOx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가 순회 공급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한다. 규제 발효 이후 약 1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2020년 IMO의 SOx 규제에 대한 효과적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정부의 제도적 지원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aims to derive concrete polices to activate the circuit fuel oil supply from barge ships in the Korean shipping industry.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rough interviews with related persons engaged in shipping companies, the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tax exemption on fuel oil for ships in Korea and the trends of major countries, thus confirming the necessity for activation of circuit fuel oil supply from barge ships in the Korean shipping industry.
Results :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Korea needs to consider the activation of a circuit fuel oil supply policy to take preemptive action against the 0.5% sulfur fuel oil regulations in 2020.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current policy in such a way that bunker oil barges would continuously respond to multiple incoming cargo ships.
Conclusions : Through a policy regarding the activation of circuit fuel oil supply from barge ships, Korea’s major ports can become ports favored by major domestic and foreign shipping companies for low sulfur bunkering. Thus, a global bunkering hub port leading the low sulfur bunker oil era can be develop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황함유량 규제 및 대응동향
Ⅳ. 벙커유 면세 현황 및 주요국 동향
Ⅴ. 순회공급 현황 및 주요국 동향
Ⅵ. 결론 및 정책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린 뉴딜 시대 대비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발틱운임지수(BDI) 예측 연구
- 물류기업의 물류 4.0 기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 연구
- 국내 항만 물류연구 동향분석: Systematic Literature Network Analysis의 적용
- 스마트 물류 구현을 위한 핵심기술과 적용동향에 관한 연구
- 연료유 바지선 순회 공급 활성화 방안 연구
- 코로나19 하에서 글로벌 공급사슬 위험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3)4)
- 해상운송계약상 운송인의 감항능력주의의무 입증책임에 관한 연구
- 이질성 시각에서의 축산물 수출을 위한 사회적 선호 비교 분석
-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통상정책 변화
- 우리나라의 국제도로운송 진출을 위한 TIR 제도에 관한 연구
- 무역서류의 전자화에 따른 법제도적 과제
- 코로나 19에 따른 공급사슬관여가 농림 슈퍼마켓유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한-중 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PSR) 엄격성 차이에 관한 연구
- 미국 반도체과학법의 시행에 대한 연구: 한국에 미치는 입법적 동향의 관점에서
- 중국의 분쟁해결의 실무에서 다단계분쟁해결조항의 적용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