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질성 시각에서의 축산물 수출을 위한 사회적 선호 비교 분석
이용수 46
- 영문명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ocial Preference for Export of Livestock Products : Focusing on Heterogeneity
- 발행기관
- 한국국제상학회
- 저자명
- 김희걸(Jin Xijie) 이지윤(Li Zhirun) 이종인(Lee Jong-In) 안국산(An Guoshan)
- 간행물 정보
- 『국제상학』國際商學 第35卷 第4號, 249~26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쇠고기 등급제는 부정육 유통근절, 축산기술 일반화 등 한국 축산업 역사에서 가장 성공적인 축산정책으로 불리우며 축산업 생산기술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시장 개방이 확대되면서 쇠고기 등급제가 한국 육우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지만 과도하게 마블링 수준에만 의거하여 평가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소비자들은 등급제가 전달하려는 객관적 정보 외, 다른 정보들도 추가하여 받아들일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쇠고기 등급제를 인지함에 있어 품질 척도 이외, 어떠한 인식을 형성하고 있는지 에 대한 이질성 시각에서의 확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8 식품소비행태조사>데이터를 이용하여 쇠고기 등급 선호와 축산물 구매 특징, 인구 통계 특징 간의 영향 관계를 기술하고, 한우 쇠고기 생산 유통 체계 하에서 소비자의 소비 패턴과 인식 특징 등의 문제점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축산물 구입시 고려기준에서 가격보다는 안정성, 신선도와 영양을 고려하는 소비자일수록 높은 등급의 쇠고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는 높은 등급 쇠고기가 낮은 등급 쇠고기보다 안전하고 신선하며 영양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변량 프로빗 모델을 이용해 변수 간의 내생성을 측정하고 쇠고기 등급제도의 정보비대칭성을 검증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among beef grading preference and livestock products purchase characteristic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analyze the existing problems in the Korean beef production and circulation system.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The current Korean beef production and circulation system were investigated and consumer consumption patterns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Data were drawn from the “Consumer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2018” publish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Research Institute. The Bivariate-Probit model was used to detect the endogeneity between variables, and the asymmetry of the information.
Results: Using bivariate probit models, the study found that consumers in general have a misperception that high-grade beef is safer, fresher, and more nutritional than mid or low-grade beef.
Conclusion: The current grading system cannot be a correct guide for consumers’ beef purchase behavior. It is proposed that when formulating the beef grading system, the relevant stakeholders involved should carefully convey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beef grading system.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 status of the Korean beef industry
Ⅲ. Empirical Framework
Ⅳ. Conclusion and suggest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린 뉴딜 시대 대비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발틱운임지수(BDI) 예측 연구
- 물류기업의 물류 4.0 기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 연구
- 국내 항만 물류연구 동향분석: Systematic Literature Network Analysis의 적용
- 스마트 물류 구현을 위한 핵심기술과 적용동향에 관한 연구
- 연료유 바지선 순회 공급 활성화 방안 연구
- 코로나19 하에서 글로벌 공급사슬 위험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3)4)
- 해상운송계약상 운송인의 감항능력주의의무 입증책임에 관한 연구
- 이질성 시각에서의 축산물 수출을 위한 사회적 선호 비교 분석
-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통상정책 변화
- 우리나라의 국제도로운송 진출을 위한 TIR 제도에 관한 연구
- 무역서류의 전자화에 따른 법제도적 과제
- 코로나 19에 따른 공급사슬관여가 농림 슈퍼마켓유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한-중 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PSR) 엄격성 차이에 관한 연구
- 미국 반도체과학법의 시행에 대한 연구: 한국에 미치는 입법적 동향의 관점에서
- 중국의 분쟁해결의 실무에서 다단계분쟁해결조항의 적용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