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상운송계약상 운송인의 감항능력주의의무 입증책임에 관한 연구
이용수 286
- 영문명
- A Study on Carriers’Burden of Proof toward Caring Their Seaworthiness under the Contract of Carriage of Goods by Sea
- 발행기관
- 한국국제상학회
- 저자명
- 박세현(Se-Hyun Park)
- 간행물 정보
- 『국제상학』國際商學 第35卷 第4號, 25~4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감항능력담보는 선주가 장기운송계약에 명시된 물품을 운송하거나 항해를 위해 항해에 적합한 선박을 제공하는데 동의하는 담보를 의미한다. 감항능력은 선박 또는 기타 선박이 가능한 안전하게 항해를 할 수 있는 능력이다. 항해보험에는 부보한 특정 모험을 위해 선박이 항해에 감내해야 한다는 묵시담보가 있다. 이것에는 의도된 용도에 합리적으로 적합한 선박, 선원 및 부속품을 제공하는 소유자의 절대적인 의무가 포함된다. 해상화물 운송인은 발항시 선박이 항해에 감내할 수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화물의 송하인에게 부담할 의무가 있다. 선주는 용선중인 선박이 항해에 감내할 수 있다는 것을 용선자에게 담보한다. 마찬가지로 선박건조자는 건조중인 선박이 항해에 감내할 수 있다는 것을 담보한다. 해법은 선박, 승무원 또는 그 부속품의 결함 또는 불충분함으로 인해 선박의 감항능력을 결여하거나 의도된 용도에 부적합하게 됨에 따라 초래된 부상에 대한 소송 원인을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운송인의 감항능력주의의무를 중심으로 운송인의 책임원칙을 고찰한다.
영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burden of proof on carriers in ensuring their seaworthiness under the contract of carriage of goods by sea.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Focusing on the duty of carriages to provide warranty of seaworthiness a literature review of academic papers on the topic was conducted, and Internet data were analyzed.
Results : Warranty of seaworthiness refers to a warranty whereby the ship-owner agrees to provide a seaworthy vessel to carry the goods specified in a contract of affreightment or for voyage. Seaworthiness is a concept that runs through maritime law in at least four contractual relationships. In a marine insurance voyage policy, the assured warrants that the vessel is seaworthy. A carrier of goods by sea owes a duty to a shipper of cargo that the vessel is seaworthy at the start of the voyage.
Conclusions : The following are a few rules established with regard, to the warranty of seaworthiness. Maritime law provides a cause of action for injuries resulting from defects or insufficiencies of a vessel, its crew, or its appurtenances that undermine the vessel’s seaworthiness, render it unfit for its intended use, or make the vessel an unsafe place to work.
목차
Ⅰ. 서 론
Ⅱ. 감항능력결여의 의미
Ⅲ. 운송인의 감항능력주의의무 위반
Ⅳ. 감항능력결여와 손해 간의 인과관계 및 입증책임에 관한 시사점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린 뉴딜 시대 대비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발틱운임지수(BDI) 예측 연구
- 물류기업의 물류 4.0 기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 연구
- 국내 항만 물류연구 동향분석: Systematic Literature Network Analysis의 적용
- 스마트 물류 구현을 위한 핵심기술과 적용동향에 관한 연구
- 연료유 바지선 순회 공급 활성화 방안 연구
- 코로나19 하에서 글로벌 공급사슬 위험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3)4)
- 해상운송계약상 운송인의 감항능력주의의무 입증책임에 관한 연구
- 이질성 시각에서의 축산물 수출을 위한 사회적 선호 비교 분석
-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통상정책 변화
- 우리나라의 국제도로운송 진출을 위한 TIR 제도에 관한 연구
- 무역서류의 전자화에 따른 법제도적 과제
- 코로나 19에 따른 공급사슬관여가 농림 슈퍼마켓유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한-중 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PSR) 엄격성 차이에 관한 연구
- 미국 반도체과학법의 시행에 대한 연구: 한국에 미치는 입법적 동향의 관점에서
- 중국의 분쟁해결의 실무에서 다단계분쟁해결조항의 적용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