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나라의 국제도로운송 진출을 위한 TIR 제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69
- 영문명
- A Study on the TIR System for Advancing International Road Transport of Korea
- 발행기관
- 한국국제상학회
- 저자명
- 한상훈(Sang-Hun Han) 한재필(Jae-Phil Hahn)
- 간행물 정보
- 『국제상학』國際商學 第35卷 第4號, 65~8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TIR 제도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최근 비대면 국제통관이라는 새로운 해결방안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eTIR 제도를 소개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의 TIR 제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장은 본 논문의 서론으로 최근의 문제제기를 하였으며, 제2장은 선행연구와 TIR 협약의 일반적 개요를 살펴보았다. 제3장은 TIR 제도의 원칙과 기구, 운영절차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제4장에서는 TIR의 국제화, 전산화, eTIR의 도입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마지막 제5장은 본 논문의 결론이다.
TIR 제도는 UN에서 인정하는 국제협약으로 국가를 통과할 경우 간소화된 통관절차로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며, 세관의 관리로 국제적인 위험요소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은 물류진출에 매우 큰 편익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우리정부는 선제적인 입장에서 TIR 제도에 대한 운영준비를 해야한다.
우리나라에서 TIR제도에 관한 연구는 없다. 본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가 국제도로운송으로 진출할 경우 TIR 제도에 대한 연구의 기반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TIR system, which has recently become an issue as a new solution for non-face-to-face international customs clearance, by introducing and examining the contents thereof. No research on the TIR system has been performed in Korea.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provides the solid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he TIR system when Korea advances to international road transport in the future.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study analyzes the issue through careful studies of TIR Convention and its operational system. For that, Chapter Ⅰ and II explore the current issues of logistics industry and concept of TIR convention. Chapter Ⅲ analyzes principles, organizations and operating procedures of the TIR system and Chapter Ⅳ studies internationalization and computerization of TIR known as eTIR. The final chapter offers necessary concluding remarks.
Results : TIR system is recognized as having effects of saving time and reducing costs and international risk factors through simplified customs procedures and efficient customs management. In addition, it is operated under an international convention recognized by the United Nations, procedural harmonization at international level can be expected.
Conclusions : This study finds out that TIR system is expected to bring great benefits to the logistics market in general. In that respect, it is suggest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repare for the operation of the TIR system from a preemptive position.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TIR 협약의 일반 개요
Ⅲ. TIR 제도의 주요 내용
Ⅳ. TIR 제도의 발전과 eTIR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그린 뉴딜 시대 대비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
-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발틱운임지수(BDI) 예측 연구
- 물류기업의 물류 4.0 기술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 연구
- 국내 항만 물류연구 동향분석: Systematic Literature Network Analysis의 적용
- 스마트 물류 구현을 위한 핵심기술과 적용동향에 관한 연구
- 연료유 바지선 순회 공급 활성화 방안 연구
- 코로나19 하에서 글로벌 공급사슬 위험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3)4)
- 해상운송계약상 운송인의 감항능력주의의무 입증책임에 관한 연구
- 이질성 시각에서의 축산물 수출을 위한 사회적 선호 비교 분석
-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통상정책 변화
- 우리나라의 국제도로운송 진출을 위한 TIR 제도에 관한 연구
- 무역서류의 전자화에 따른 법제도적 과제
- 코로나 19에 따른 공급사슬관여가 농림 슈퍼마켓유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한-중 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PSR) 엄격성 차이에 관한 연구
- 미국 반도체과학법의 시행에 대한 연구: 한국에 미치는 입법적 동향의 관점에서
- 중국의 분쟁해결의 실무에서 다단계분쟁해결조항의 적용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