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勉菴 崔益鉉의 상소 항일투쟁과 그 역사적 의의
이용수 139
- 영문명
- The Letter of Choi Ik-hyeon in Historical Context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사학회
- 저자명
- 朴敏泳(Park Min-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근현대사연구』제67집, 532~561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hoi Ik-heyon is iconic figure in Modern Korean history. His unshakable devotion and patriotism represents traditional, Korean nobbles-oblige.
He left major footprints in history with three major political events. First, As renowned local Confucian, Choi made audacious attempts to bring down ruling monarch by criticizing failed policies. in 1873, he succeeded in impeachment of Dae-Won-Goon, who was reformative ruler. Second, in 1876, Choi fiercely opposed Trade with foreign power. Lastly, as leader of righteous army, he sacrificed his life for country. He resisted japanese invasion with his death.
In typical Seonbi spirit, one’s faith shouldn’t be compromised and he must protect integrity of his will at all cost. Imperial Japan who just claimed victory in war with Russia, was rising star in Asia. At the time, Japanese formidable military power had been creeping in Korea and Choi exactly recognized the greatness of his enemy. Though he never stopped. In 1905, he wrote letter to emperor, accusing Japan as serious threat to national security and even existence. Eventually he got imprisoned and sent to Command Centre of Japanese Military Police two times.
His heroic act was broadcasted to public by newspaper. Especially, Choi’s letter to emperor and his feedback laced a huge portion of paper and brought him huge fame. With this single incident, He successfully transformed to the leader of Korean nationalism from local Imam.
Not only he is nationalistic figure, but he was spiritual guru. Many years of study made him possible to affect people’s mind to great extent. Indeed death of respected figure, shocked society and triggered significant resistance against Japan.
목차
1. 머리말
2. 강화도조약 반대 상소
3. 갑오경장 반대 상소
4. 러일전쟁기 일제침략 규탄 상소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홍범도 장군의 항일무장투쟁과 고려인 사회
- 한국근현대사연구 제67집 목차
- 해방 후 국어학계의 분열과 대립
-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신종교에 대한 정책과 신종교단체
- 일제 강점 말기 조선주둔일본군의 조선인 포로감시원 동원과 연합군 포로수용소 운영
- 러시아혁명기 원동해방전쟁과 한인부대의 활약
- 다보하시 기요시(田保橋潔)의 근대한일관계사 연구에 대한 검토
- 해방 직후 대학사회 형성과 학문의 제도화
- 해방 공간의 민족주의와 전통문화
- 조선족 변사 海元의 활동 분석을 통해서 본 1960년대 상반기 연변조선족 사회와 한반도와의 관계
- 姜永韶의 재미민족운동과 경제활동
- 張伯苓의 천진지역 한국독립운동 지원활동
- 사학과의 편제와 사람, 그리고 교재(1945.8~1950년대)
- 해방 후~1950년대 철학과의 설치·운영과 교양철학 강의
- 분원 사기장의 존재 양상과 개항 후 변화
- 1961년 5·16 이후 국토건설사업과 국토건설단 운영 실태
- 갑오개혁기(1894∼1896) 민사소송제도의 시행과 ‘私權’ 신장
- 1920년대 한국 농촌의 肥料 실황과 일제의 肥料取締令 시행
- 대한제국기 ‘국민’ 형성과 여성론
- 한국근현대사연구 총목차(제1~66집)
- 한국근현대사학회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 한국전쟁 발발 직후 이승만 대통령의 라디오 특별방송 관련 자료
- 尹奉吉의 修學과정과 항일독립론
- 전시체제기(1937∼1945) 조선주둔일본군의 陸軍 兵事部 설치와 역할
- 勉菴 崔益鉉의 상소 항일투쟁과 그 역사적 의의
- 대학의 제도적 기반 형성과 학술 여건(1945~1955)
- 6·25전쟁 정전협정 상의 한강 하구 공동수역 설정 의미의 재조명
- 1920년대 전반기 하와이 故國訪問團의 추진과 성격
- 환국 이후 梵亭 張炯의 사회교육 활동
- 신여성 尹貞媛의 현실인식과 사회활동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