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족 변사 海元의 활동 분석을 통해서 본 1960년대 상반기 연변조선족 사회와 한반도와의 관계
이용수 37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nese Korean Society in Yanbian and Korean Peninsula in Early 1960s as Viewed from Case of the Chinese Korean Film Interpreter Haewon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사학회
- 저자명
- 廉仁鎬(Yeom, In-ho)
- 간행물 정보
- 『한국근현대사연구』제67집, 943~979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For a long time after People’s Republic of China had been established, many Chinese ethnic minorities could not understand Chinese movies because of the language barriers. However Chinese Korean in Yanbian was able to understand those movies and watch them ever, since there were film interpreters who translate from Chinese to Korean. Their roots were people who had worked in Korea Peninsul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some of them had moved to the Manchukuo in Manchuria. Film interpreters in Yanbian inherited those Manchukuo interpreters’ job. In other words, the culture of Korean Peninsula was being kept in Yanbian in terms of film interpreter.
For example, Haewon(海元), the famous film interpreter in China, praised Manchuria Chinese Korean anti-Japanese guerilla in 1930s and tried to inherit their activities. There are three backgrounds to let Haewon sympathized with them; first, the area Hae-won worked in is where anti-Japanese guerilla war occurred actively, second, Chinese Korean people, who lived the region where Haewon had been grown up, generally admired Korean anti-Japanese activists, third, Haewon’s older brother lived in the North Korea (DPRK). Based on those three elements, we could understand that the society of Chinese Korean in Yanbian and the society of the North Korea were close in early 1960s.
In early 1960s, the Chinese Communists Party allowed Chinese Korean to watch not only Chinese movies but also North Korean movies. This was because China and North Korea were the societies which had similar aims of the propaganda. Additionally, Chinese Communists Party intended to utilize nationalism of Chinese Korean to rule the country. Moreover, since the relations with Soviet Union and USA were bad, Chinese Communists Party highly needed to unite with North Korea. The fact that North Korean movies were released to Chinese Korean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n society and Yanbian Chinese Korean society were very close each other in that time.
목차
1. 머리말
2. 연변자치주 변사의 기원과 한반도의 변사
3. 해원의 재만조선인 항일투쟁사 인식과 계승의식
4. 해원이 상영한 북한 영화와 연변 조선족사회·북한과의 관계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홍범도 장군의 항일무장투쟁과 고려인 사회
- 한국근현대사연구 제67집 목차
- 해방 후 국어학계의 분열과 대립
-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신종교에 대한 정책과 신종교단체
- 일제 강점 말기 조선주둔일본군의 조선인 포로감시원 동원과 연합군 포로수용소 운영
- 러시아혁명기 원동해방전쟁과 한인부대의 활약
- 다보하시 기요시(田保橋潔)의 근대한일관계사 연구에 대한 검토
- 해방 직후 대학사회 형성과 학문의 제도화
- 해방 공간의 민족주의와 전통문화
- 조선족 변사 海元의 활동 분석을 통해서 본 1960년대 상반기 연변조선족 사회와 한반도와의 관계
- 姜永韶의 재미민족운동과 경제활동
- 張伯苓의 천진지역 한국독립운동 지원활동
- 사학과의 편제와 사람, 그리고 교재(1945.8~1950년대)
- 해방 후~1950년대 철학과의 설치·운영과 교양철학 강의
- 분원 사기장의 존재 양상과 개항 후 변화
- 1961년 5·16 이후 국토건설사업과 국토건설단 운영 실태
- 갑오개혁기(1894∼1896) 민사소송제도의 시행과 ‘私權’ 신장
- 1920년대 한국 농촌의 肥料 실황과 일제의 肥料取締令 시행
- 대한제국기 ‘국민’ 형성과 여성론
- 한국근현대사연구 총목차(제1~66집)
- 한국근현대사학회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 한국전쟁 발발 직후 이승만 대통령의 라디오 특별방송 관련 자료
- 尹奉吉의 修學과정과 항일독립론
- 전시체제기(1937∼1945) 조선주둔일본군의 陸軍 兵事部 설치와 역할
- 勉菴 崔益鉉의 상소 항일투쟁과 그 역사적 의의
- 대학의 제도적 기반 형성과 학술 여건(1945~1955)
- 6·25전쟁 정전협정 상의 한강 하구 공동수역 설정 의미의 재조명
- 1920년대 전반기 하와이 故國訪問團의 추진과 성격
- 환국 이후 梵亭 張炯의 사회교육 활동
- 신여성 尹貞媛의 현실인식과 사회활동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