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홍범도 장군의 항일무장투쟁과 고려인 사회
이용수 542
- 영문명
- Hong Beom-do’s Anti-Japanese Armed Struggles and Soviet-Korean Society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사학회
- 저자명
- 潘炳律(Ban, Byung-yool)
- 간행물 정보
- 『한국근현대사연구』제67집, 625~661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Hong Beom-do is one of few Korean patriots who is highly respected among Koreans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Korean Peninsula. As the leader of righteous independence armies composed mainly of commoners, Hong Beom-do has left a legacy detailing his turmoil and struggles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His history is a very rare case of a leader who organized an anti-Japanese righteous army in the late 1890’s, continuing armed struggles against the Japanese into the 1920’s, such as in Bongo-dong (Fengwu-dong, June 1920) and Cheongsan-ni (Qingshan-li, October, 1920) in Manchuria. His place in the history of Korean anti-Japanese armed struggles is unparalleled with other leaders of his time.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why Hong Beom-do may not have received proper recognition in Korean society. First of all, we can attribute this to the fact that Korean society has been under the overwhelming influence of the Cold War, as well as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Cold War and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brought about an unfavorable political, ideological and geographical environment for academic research. There were difficulties in data acquisition and field survey research. Accordingly, the attention level of the general public to such matters can be quite low.
For a long time, the facts about Hong Beom-do’s life and his activities in Soviet Russia after the end of the Siberian Intervention (October, 1922) have been inaccurate and unclear, especially regarding his last years in Central Asia. Plausible conjectures and inaccurate information about Hong Beom-do’s last years in Central Asia have resulted from such ambigu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Hong Beom-do’s life in the Russian Far East and Central Asia and to introduce how Soviet Koreans memorize and commemorate Hong Beom-do’s life and struggles through theatric performances and literary works. Furthermore, this paper points out some inaccurate descriptions about Hong Beom-do’s life and activities in previous literature and suggests possible future research subjects. Finally, this paper raises the necessity of cooperation in uncovering historical materials and collective researches among historians from various countries.
목차
1. 머리말
2. 망명 이후 러시아·만주지역에서의 항일투쟁, 1910~1922년
3. 러시아 원동에서의 정착생활, 1923~1937
4. 카자흐스탄에서의 말년, 연극 홍범도 그리고 『홍범도 일지』, 1937~1943
5. 고려인사회에서의 홍범도 장군에 대한 추모와 기억
6. 맺음말: 홍범도 연구의 향후 과제와 고려인 사회에 주는 교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홍범도 장군의 항일무장투쟁과 고려인 사회
- 한국근현대사연구 제67집 목차
- 해방 후 국어학계의 분열과 대립
-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신종교에 대한 정책과 신종교단체
- 일제 강점 말기 조선주둔일본군의 조선인 포로감시원 동원과 연합군 포로수용소 운영
- 러시아혁명기 원동해방전쟁과 한인부대의 활약
- 다보하시 기요시(田保橋潔)의 근대한일관계사 연구에 대한 검토
- 해방 직후 대학사회 형성과 학문의 제도화
- 해방 공간의 민족주의와 전통문화
- 조선족 변사 海元의 활동 분석을 통해서 본 1960년대 상반기 연변조선족 사회와 한반도와의 관계
- 姜永韶의 재미민족운동과 경제활동
- 張伯苓의 천진지역 한국독립운동 지원활동
- 사학과의 편제와 사람, 그리고 교재(1945.8~1950년대)
- 해방 후~1950년대 철학과의 설치·운영과 교양철학 강의
- 분원 사기장의 존재 양상과 개항 후 변화
- 1961년 5·16 이후 국토건설사업과 국토건설단 운영 실태
- 갑오개혁기(1894∼1896) 민사소송제도의 시행과 ‘私權’ 신장
- 1920년대 한국 농촌의 肥料 실황과 일제의 肥料取締令 시행
- 대한제국기 ‘국민’ 형성과 여성론
- 한국근현대사연구 총목차(제1~66집)
- 한국근현대사학회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 한국전쟁 발발 직후 이승만 대통령의 라디오 특별방송 관련 자료
- 尹奉吉의 修學과정과 항일독립론
- 전시체제기(1937∼1945) 조선주둔일본군의 陸軍 兵事部 설치와 역할
- 勉菴 崔益鉉의 상소 항일투쟁과 그 역사적 의의
- 대학의 제도적 기반 형성과 학술 여건(1945~1955)
- 6·25전쟁 정전협정 상의 한강 하구 공동수역 설정 의미의 재조명
- 1920년대 전반기 하와이 故國訪問團의 추진과 성격
- 환국 이후 梵亭 張炯의 사회교육 활동
- 신여성 尹貞媛의 현실인식과 사회활동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