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61년 5·16 이후 국토건설사업과 국토건설단 운영 실태
이용수 92
- 영문명
- Management of the National Development Project and National Development since the May 16, 1961 Military Coup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사학회
- 저자명
- 任松子(Yim, Song-ja)
- 간행물 정보
- 『한국근현대사연구』제67집, 900~942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look at the 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developing process an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national develop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I focused on elucidating a few points in the study as follows; transformation of the national development project by the Democratic party’s regime in the period of military administration; change into the national development project by the national development corps; relation between the national develop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management of the national development corps and its dissolution.
The military authorities continued carrying out the national development project which had been launched under the Democratic party’s government and developed it with the new direction in 1962. But they failed because of many problems such as the internal conflict in the national development corps, outbreak of pleurisy, poor protection against cold, and inefficient work with primitive equipment. The most serious problem was that they developed the project without thorough research and study regarding the land.
With this trial and error, the national development project was totally reviewed and the law of comprehensive national development program was established in the October of 1963. The economic development project did not originated with the military administr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law of comprehensive national development program was only possible with the experience from the national development project by the Democratic party’s government.
The land development project in the 1960s was developed within the investment figure which was arranged in the economic development proj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evelopment project as well as the economic development project, above all, in order to illuminate the relation between the land develop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growth in the 1960s will be possible through these efforts.
목차
1. 머리말
2. 국토건설사업의 계승과 굴절
3. 국토건설사업과 경제개발계획
4. 국토건설사업의 방향 전환
5. 국토건설단 운영과 해단 과정
6.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홍범도 장군의 항일무장투쟁과 고려인 사회
- 한국근현대사연구 제67집 목차
- 해방 후 국어학계의 분열과 대립
-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신종교에 대한 정책과 신종교단체
- 일제 강점 말기 조선주둔일본군의 조선인 포로감시원 동원과 연합군 포로수용소 운영
- 러시아혁명기 원동해방전쟁과 한인부대의 활약
- 다보하시 기요시(田保橋潔)의 근대한일관계사 연구에 대한 검토
- 해방 직후 대학사회 형성과 학문의 제도화
- 해방 공간의 민족주의와 전통문화
- 조선족 변사 海元의 활동 분석을 통해서 본 1960년대 상반기 연변조선족 사회와 한반도와의 관계
- 姜永韶의 재미민족운동과 경제활동
- 張伯苓의 천진지역 한국독립운동 지원활동
- 사학과의 편제와 사람, 그리고 교재(1945.8~1950년대)
- 해방 후~1950년대 철학과의 설치·운영과 교양철학 강의
- 분원 사기장의 존재 양상과 개항 후 변화
- 1961년 5·16 이후 국토건설사업과 국토건설단 운영 실태
- 갑오개혁기(1894∼1896) 민사소송제도의 시행과 ‘私權’ 신장
- 1920년대 한국 농촌의 肥料 실황과 일제의 肥料取締令 시행
- 대한제국기 ‘국민’ 형성과 여성론
- 한국근현대사연구 총목차(제1~66집)
- 한국근현대사학회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 한국전쟁 발발 직후 이승만 대통령의 라디오 특별방송 관련 자료
- 尹奉吉의 修學과정과 항일독립론
- 전시체제기(1937∼1945) 조선주둔일본군의 陸軍 兵事部 설치와 역할
- 勉菴 崔益鉉의 상소 항일투쟁과 그 역사적 의의
- 대학의 제도적 기반 형성과 학술 여건(1945~1955)
- 6·25전쟁 정전협정 상의 한강 하구 공동수역 설정 의미의 재조명
- 1920년대 전반기 하와이 故國訪問團의 추진과 성격
- 환국 이후 梵亭 張炯의 사회교육 활동
- 신여성 尹貞媛의 현실인식과 사회활동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