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ranslations of deleted subjects in Korean : Focusing on French Translations of Plaza Hotel
- 발행기관
- 한국통번역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희(Kim, Kyunghee)
- 간행물 정보
- 『통번역교육연구』제18권 제4호, 97~11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ubject deletion is a common phenomenon in Korean whereas it is not allowed in French. This makes translators of Korean literature into French burdened with finding what the deleted subject is and how it should be expressed in translation.
We examined two translated versions of Plaza Hotel by Mi-wol Kim in order to see how they dealt with the deleted subjects in the original work. Of the 176 deleted subjects in the first-person original version. Le Plaza Hotel translated 141 subjects(80.1%) overtly, whereas Ĥôtel Plaza translated 136 subjects(77.3%) with overt subjects. Comparing these results with the English and German translations of Plaza Hotel by Han-sik Kim et al.(2019), we found a slight difference, but they all used a common strategy to recover the deleted subjects and translate them.
The French translators used overt subjects most often, or changed them into the objective case or a noun phrase with a possessive adjective. Both translations changed the sentence structure of 20% of the cases, or combined the sentences so that there would not be deleted subjects as in the original version.
목차
Ⅰ. 서론
Ⅱ. 기존연구
Ⅲ. 연구방법
Ⅳ. 생략된 주어의 번역 양상
Ⅴ. 생략된 주어 번역에서의 문제점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간과 기계번역의 공존 패러다임 모색
- 기독교 선교사 게일의 번역담론에서 드러난 사회 통합적 인식
- 미학적 가치를 고려한 시 번역 연구
- 진행형 번역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과 활동
- 학부 한중통역 교재 분석
- Machine Translator: A Better Way to Improve Extended Writing
- 초등 국어 교과서의 번역문 수록 양상 연구
- 영화제목의 번역
- A Study on Translating Performance Difference in the Present Participle and the Gerund between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AI Translators
- 주격 인칭대명사의 생략과 번역
- Cintas & Remael(2007)의 자막 번역 전략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혐오표현 말뭉치 비교 분석: 표적집단을 중심으로
- 한국 사회 ‘번아웃’ 담론의 다의성에 대한 언어정보학적 분석: 신문 기사 프레임별 개념화와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 혐오 표현 ‘혼모노’에 대한 (사회) 단계적 현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