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analysis of hate speech corpora by target groups
- 발행기관
- 한국사회언어학회
- 저자명
- 고예린(Yelin Go)
- 간행물 정보
- 『사회언어학』제33권 3호,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compares four major Korean hate speech corpora to analyze differences in target group categorization and the impact of construction method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rtions of key target groups—gender, origin, physical traits, and ideology—vary greatly depending on how the corpus was compiled. In particular, keyword-based data sets revealed a notably higher focus on gender, with the influence of data collectors’ subjectivity and contemporary social issues clearly reflected.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intersectionality and exclusivity of hate speech, we identified complex interconnections among target groups and challenges in classification arising from contextual usage. The study recommends the development of theme-specific and context-aware corpora to accurately capture these features.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표적집단에 따른 비교
4. 표적집단간의 관계: 교차성과 배타성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혐오표현 말뭉치 비교 분석: 표적집단을 중심으로
- 한국 사회 ‘번아웃’ 담론의 다의성에 대한 언어정보학적 분석: 신문 기사 프레임별 개념화와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 혐오 표현 ‘혼모노’에 대한 (사회) 단계적 현상
- 현상학으로 본 생성형 AI와 인간의 의사소통: 30대 여성 학문 연구자의 ChatGPT 사용 경험을 중심으로
- ‘세월호 참사 트라우마’ 언론 보도에 나타난 피해자 재현 양상 연구
- 재한 구화교(舊華僑)의 언어 태도와 자녀 대상 다중언어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비판적 언어감수성 교육의 토대와 교육적 가능성 탐색
- Impact of SNS Contact: Motivation,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Learner Perspectives in KFL and EFL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혐오표현 말뭉치 비교 분석: 표적집단을 중심으로
- 한국 사회 ‘번아웃’ 담론의 다의성에 대한 언어정보학적 분석: 신문 기사 프레임별 개념화와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 혐오 표현 ‘혼모노’에 대한 (사회) 단계적 현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