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Translation of English Movies into Korean
- 발행기관
- 한국통번역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신(Kim, Youngshin)
- 간행물 정보
- 『통번역교육연구』제18권 제4호, 119~13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title of a movie is supposed to summarize and condense the content of the movie. The title should also be evocative and operative, working with its semantic value and connotations. Such traits of a movie title make its translation particularly difficult for the translator who can not resort to context to clarify or supplement the meaning. In other words, the translation of movie titles encompasses the task of not only giving it meaning bust also making it appealing and catchy to potential customers. Therefore, the translator is faced with a trick work of translating the message in a faithful but creative way.
Based on this observation, this study collected 100 English movie titles and their Korean translations to discuss the dominant translation methods adopted by Korean translators. The translated methods are divided into 7 categories; free and localized translation; literal translation; partial translation; transliteration; new English title; original title + Korean counterpart. The finding of this study shows that free and localized titles outnumbers the other methods, while the literal translation of originals makes up only a small proportion of the collected data. The analysis and discussion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socio-cultural context surrounding the activity of translation.
목차
Ⅰ. 서론
Ⅱ. 영화제목 번역
Ⅲ. 연구방법
Ⅳ. 분석내용
Ⅴ. 연구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간과 기계번역의 공존 패러다임 모색
- 기독교 선교사 게일의 번역담론에서 드러난 사회 통합적 인식
- 미학적 가치를 고려한 시 번역 연구
- 진행형 번역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과 활동
- 학부 한중통역 교재 분석
- Machine Translator: A Better Way to Improve Extended Writing
- 초등 국어 교과서의 번역문 수록 양상 연구
- 영화제목의 번역
- A Study on Translating Performance Difference in the Present Participle and the Gerund between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AI Translators
- 주격 인칭대명사의 생략과 번역
- Cintas & Remael(2007)의 자막 번역 전략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혐오표현 말뭉치 비교 분석: 표적집단을 중심으로
- 한국 사회 ‘번아웃’ 담론의 다의성에 대한 언어정보학적 분석: 신문 기사 프레임별 개념화와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 혐오 표현 ‘혼모노’에 대한 (사회) 단계적 현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