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도교육청의 학교운영비 확대 노력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변화 체감도와 개선과제

이용수  276

영문명
A Study on Perception of School Members Regarding the Efforts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o Expand School Operation Expenses
발행기관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저자명
김옥(Kim, Ok) 남수경(Nam, Sookyong) 김은영(Kim, Eunyoung)
간행물 정보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9권 제4호, 179~20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시·도교육청의 학교운영비 확대 노력이 단위학교의 학교 특색에 맞는 교육과정 운영 지원을 위한 실질적 교육활동비 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A교육청에 위치한 초·중·고등학교를 사례로 교장(감), 부장교사, 행정실장(주무관) 등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기반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에서 활용가능한 예산이 확대되면서 구성원 간의 예산조정 갈등이 감소됨에 따라서 교육활동비를 보다 효과적으로 편성하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학교운영비 증액에 대한 체감도는 학교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학교 내에서 교육활동 운영과 지원이라는 목표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교무조직과 행정조직의 예산 운용에 대한 역할 범위의 인식에서 여전히 차이가 있었다. 끝으로 학교운영비의 증액에도 불구하고 점차 경직성 경비의 증가로 인해서 교육활동비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단위학교의 실질적 교육활동비를 증대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구성원에 대한 재정 운용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연수가 실행되어야 한다. 둘째, 학교기본운영비 배분 방식에서 학교 특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에 따라 예산 운용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학교 특성 기반 예산 편성 및 운용 지원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in which the efforts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o expand school operation expenses can lead to an increase in educational activity expenses of each unit school.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as conducted with the principal, the vice-president teacher, and the administrative department hea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budget available in schools was expanded, there was an effect of organizing educational activity expenses more effectively by decreasing the conflict between members around the budget adjustment. Second, the perceived degree of increase in school operation expenses differed according to the school characteristics. Third, there was still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scope of roles in budget management between the school affairs organization and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Lastly, despite the increase in school operation expenses, it was difficult to secure educational activities due to the increase in rigidity expen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suggested improvement measures. First, various training programs should be conducted to strengthen financial management capacity for school memb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school characteristics more actively in the method of allocating basic school operation expense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ise a plan to support budget formation and operation based on school characteristic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옥(Kim, Ok),남수경(Nam, Sookyong),김은영(Kim, Eunyoung). (2020).시·도교육청의 학교운영비 확대 노력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변화 체감도와 개선과제. 교육재정경제연구, 29 (4), 179-208

MLA

김옥(Kim, Ok),남수경(Nam, Sookyong),김은영(Kim, Eunyoung). "시·도교육청의 학교운영비 확대 노력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변화 체감도와 개선과제." 교육재정경제연구, 29.4(2020): 179-2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