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평균 학생 학업성취도가 교사의 수업준비시간 및 수업개선노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376
- 영문명
- The Effects of School Achievement Levels on Teacher Efforts in Teaching
- 발행기관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 저자명
- 남인혜(Nam, Inhye) 이안나(Lee, Anna)
- 간행물 정보
-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9권 제4호, 21~4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평균 학생의 학업성취수준이 교사의 수업준비시간 및 수업개선노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즉, 성취수준이 높은 학교일수록 교사가 수업 노력을 더 기울이고, 성취수준이 낮은 학교일수록 덜 기울이는 것은 아닌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4주기 자료의 초, 중, 고등학교 데이터를 활용해 도구변수(Instrumental Variable)를 사용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교평균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교일수록 교사의 수업준비시간, 수업관련연수시간, 수업개선활동횟수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일관되었다. 둘째, 학교의 학생의견 반영정도는 앞선 효과를 유의하게 완화시켜주는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인(principal)으로서 학생의 감시(observability) 정도가 높을수록 교사의 책무 이행수준이 학생의 성취수준에 의해 덜 좌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평균성취도 하위 50% 학교 교사는 상위 50% 학교 교사보다 생활지도와 행정업무 할애시간 및 연수시간이 유의하게 더 많았다. 즉, 평균성취도 상위 50% 학교는 상대적으로 교사가 수업에 집중하기 용이한 환경이며, 한편으로 저성취학교 교사는 수업준비시간이 줄어들더라도 학교를 구성하는 학생의 특성에 따라 더 요구가 높은 생활지도에 많은 노력을 할애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저성취학교 교사의 수업 노력을 강화하기 위한 학교단위 지원 강화, 학생의 수요와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민주적 학교 문화, 수업 중심의 교직 문화 정착을 정책적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ether moral hazard occurs in teachers depending on student achievement levels. In other words, this study tries to figure out whether teachers in low-achieving schools tend to put less efforts in teaching because their students, as the principal in the principal-agent model, have more imperfect information about their lessons and are thus less observable of their teachers’ teaching behaviors. Using the collected data from the Actual Status and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Data,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chool achievement levels on teacher efforts in teaching (as measured by time spent in preparing for classes, time spent in taking teacher training courses on teaching and time spent in class improvement activities). To control for reverse causation, this study used the Two Stage Least Squares (2SLS) model with instrumental variables (IV).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in lower-achieving schools were significantly putting less time in preparing for classes, taking teacher training courses on teaching and participating in class improvement activities. Second, the effects were significantly moderated by the schools’ degree of reflecting the student survey results, which implies that students play valid roles as the principal in the principal-agent model. Third, time spent by teachers on student management and administrative tasks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teachers in schools with below-average achieving schools and upper-average ones, with the former spending more tim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사교육비 지출 예측 모형 탐색
- 초등학교 교직원의 교육복지예산 사용현황에 대한 생각 탐색
- 청년층의 대학 진학 및 취업 관련 지역 이동 예측 요인 탐색
- 고등교육단계 공교육비 실태 및 지원 유형 국제 비교
- 정부 재정지원이 사립대학 재정에 미치는 영향
- 학교회계 자율성 확대정책의 교육활동비 개선 성과와 영향 요인 분석
- 학교평균 학생 학업성취도가 교사의 수업준비시간 및 수업개선노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교육재정 수입 증가와 교육재정 신규 수요의 관련성 탐색
- 학급규모를 고려한 교육비 배분
- 시·도교육청의 학교운영비 확대 노력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변화 체감도와 개선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