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머신러닝을 활용한 계절 시계열 예측
이용수 390
- 영문명
- Seasonal Time Series Forecasting using Machine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진세종(SaeJong Jin) 조형준(HyungJun Cho)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2 No.5, 1779~179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시계열 자료로부터 예측을 수행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통계적 방법으로 ARIMA모형이 있다. 그러나 ARIMA 모형은 현대에 와서 크고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시계열 자료에서 좋은 예측성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기의 특성을 반영하여 ARIMA 모형보다 성능이 좋은 머신러닝 기법을 제안한다. 이에 대한 방법론으로 STL 분해와 Fourier 변수를 사용한다. STL 분해는 데이터를 추세, 계절, 나머지 변수로 나누기 때문에 좀 더 주기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또한, Fourier 변수는 시점에 따라 사인/코사인 형태의 값을 부여하여 서로 비슷한 시점끼리의 자료를 모형에 잘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생성된 데이터 중추세 변수는 ARIMA 모형에 적합하고 나머지 변수들을 선형 회귀모형, 서포트 벡터 회귀, 의사결정 나무 모형 등 7개의 알려진 머신러닝 모형에 적합하여 모의실험과 한국전력 데이터를 사용하여 머신러닝 모형끼리 비교하여 가장 예측 성능이 뛰어난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적절한 주기의 개수를 지정하여 예측 성능에 뛰어난 주기의 개수를 제시한다. 위의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모형을 가정하여 생성된 데이터와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영문 초록
ARIMA is a widely used statistical method for making predictions from time series data. However, ARIMA has a drawback that it does not exhibit good prediction performance in large and diverse time series data in modern tim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and ha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ARIMA model. As a methodology for this, STL decomposition and Fourier terms are used. STL decomposition divides the data into trend, season, and remaining variables, so it can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more. In addition, the Fourier term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flect data between similar viewpoints well in the model by assigning sine/cosine values according to viewpoints. Among the generated data, the trend variable fits the ARIMA model, and the remaining variables are fitted to 7 known machine learning models, including linear regression, support vector regression, and decision tree.
목차
1. 서론
2. 연구배경
3. 연구방법
4. 모의실험
5. 사례 연구
6.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지역 정보화마을 자립 및 활성화 요인 분석
- 코로나 19 전·후의 대학생 체육활동이 역량변화에 관한 연구
- 아마추어 골퍼의 라이 변화가 샷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국어교과서에 제시된 글의 장르 특성 비교 분석
- 유럽 탄소배출권 시장과 에너지 시장 사이의 변동성전이
- 국내 이직 관련 질적 연구 및 빅데이터 연구에서 나타난 이직 선행요인에 대한 종합적 검증
-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과 윤리적 민감성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Forecasting Method for PM10 Concentrations in Seoul, with Adjustments for the Count Time Series Distribution and Excess Zeros
- 주기도의 상관성을 이용한 시계열자료의 군집분석
- 오픈 데이터와 격자 시스템을 이용한 세종시 실제 인구 추정
- 성격평가질문지 증보판 반응왜곡지표의 상대적 효율성 비교
- 인라인 스케이트 클럽의 서비스스케이프가 서비스 만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기업 직원들의 개인-조직 그리고 개인-직무 적합성 인식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인재상을 반영한 대학생 인성역량 평가지표 개발
- 자본 및 유동성 위험수준이 은행의 위험감수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Demand Systems of Private Tutoring in South Korea
- 지지면과 욕창 단계에 따른 경계압력 차이
- 동료 튜터링을 통한 사회정서역량 및 대학생 핵심역량 향상도 분석
- LSTM 기반 모형의 주식시장 예측성 분석
- 가우시안 반응 모형을 활용한 정준대응분석 고찰
- Piecewise Logistic Regression for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Health System Interventions
- 머신러닝을 활용한 계절 시계열 예측
- 기업경기실사지수를 이용한 경기인식의 비대칭성 분석
- OECD 자료를 활용한 상속세가 민간투자와 경제성장률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편마비 환자의 수면의 질, 사회적지지, 낙상효능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4대 도시의 인구이동과 수렴속도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심리적 수용과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고객의 불량 행동이 카지노 종사원들의 감정노동을 매개로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적응집락추출에 의한 보정추정에 대한 연구
- 치매 발병 여부 예측을 위한 통계적 모형 및 기계학습 기반 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 버퍼거리에 따른 공간 랜덤포레스트를 이용한 월 평균기온 예측 성능 비교
- 소매업체의 옴니채널 서비스가 고객경험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2020년 국회의원 선거 기간의 유튜브 빅데이터 분석
- 범죄자 프로파일링을 위한 존속 살인 연구
- 데이터마이닝과 통계적 기법에 의한 대학의 취업 및 진로 만족도에 대한 순차적 분석
- SAMC 알고리즘을 이용한 미디어 패널 개인화 추천 알고리즘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BEST
-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탐색
- 대학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 분석 및 이탈 예측: H 대학교를 중심으로
- 가정 내 아동학대 행위자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중심으로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NEW
- 생애주기별 경제문제와 결혼생활 평가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시간 흐름에 따른 정서 편향의 변화: 반응시간과 표류 확산 모델을 활용한 분석
- PLAS 기반 커뮤니티 텍스트 분석: 정치적 성향에 따른 언어 및 심리 특성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