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인재상을 반영한 대학생 인성역량 평가지표 개발
이용수 270
- 영문명
- The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 Personality Competency Evaluation Index based on the University Core Competencies - H University Case Study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김헌주(Heon Joo Kim)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2 No.5, 2011~203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H 대학에서 교육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여러 가지 역량 중의 하나인 인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하위 개념을 정의하는 것이다. 또한 정의된 각 하위 개념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 문항을 개발함으로 교육을 통해 인성 역량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제안하는 것이다. 대학 교육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고 기대되는 인성의 하위 개념은 H대학에서 인성 교육을 담당하는 전문가 집단의 의견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10가지로 정의하였다. 정의된 인성 10가지 하위 개념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 40개를 개발하였으며, 이 문항들은 H 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2차에 걸친 예비조사를 통해 개발하고 확정하였다. H 대학에서 추구하는 인성은 10가지 하위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성실, 자기존중, 절제, 배려 및 예절, 희생, 양심, (사회)정의, 정직, 책임, 협동으로 정리되었다. 하위 개념 10가지의 중요성은 모두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40개 문항에 대해 2017학번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문항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검토하였으며, 개발된 문항을 통해 대학생들의 인성 역량을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fine several sub-concepts of the personality competency which is one of several personal abilities established through education at the H university. We also develop several tools to measure such sub-concepts which may show the changes of the personality competency. In the preliminary survey, we carry out the study on the basic concepts of the personality competency and several sub-concepts. We discuss these with the university expert group members and fix 10 sub-concepts. We develop and confirm 40 questions that measure the sub-concepts of personality competency through two preliminary studies for the H university students. These 10 sub-concepts of personality competency pursued in the H university are sincerity, self-respect, moderation, consideration and etiquette, sacrifice, conscience, (social) justice, honesty, responsibility and cooperation. The importance of the 10 sub-concepts are all considered the same. Finally, for the developed 40 question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questions are examined for all students in 2017, and is suggested that the developed questions could be used as a tool to measure the personality competencies of university students.
목차
1. 서론
2. 연구내용 및 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지역 정보화마을 자립 및 활성화 요인 분석
- 코로나 19 전·후의 대학생 체육활동이 역량변화에 관한 연구
- 아마추어 골퍼의 라이 변화가 샷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국어교과서에 제시된 글의 장르 특성 비교 분석
- 유럽 탄소배출권 시장과 에너지 시장 사이의 변동성전이
- 국내 이직 관련 질적 연구 및 빅데이터 연구에서 나타난 이직 선행요인에 대한 종합적 검증
-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과 윤리적 민감성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Forecasting Method for PM10 Concentrations in Seoul, with Adjustments for the Count Time Series Distribution and Excess Zeros
- 주기도의 상관성을 이용한 시계열자료의 군집분석
- 오픈 데이터와 격자 시스템을 이용한 세종시 실제 인구 추정
- 성격평가질문지 증보판 반응왜곡지표의 상대적 효율성 비교
- 인라인 스케이트 클럽의 서비스스케이프가 서비스 만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기업 직원들의 개인-조직 그리고 개인-직무 적합성 인식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인재상을 반영한 대학생 인성역량 평가지표 개발
- 자본 및 유동성 위험수준이 은행의 위험감수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Demand Systems of Private Tutoring in South Korea
- 지지면과 욕창 단계에 따른 경계압력 차이
- 동료 튜터링을 통한 사회정서역량 및 대학생 핵심역량 향상도 분석
- LSTM 기반 모형의 주식시장 예측성 분석
- 가우시안 반응 모형을 활용한 정준대응분석 고찰
- Piecewise Logistic Regression for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Health System Interventions
- 머신러닝을 활용한 계절 시계열 예측
- 기업경기실사지수를 이용한 경기인식의 비대칭성 분석
- OECD 자료를 활용한 상속세가 민간투자와 경제성장률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편마비 환자의 수면의 질, 사회적지지, 낙상효능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4대 도시의 인구이동과 수렴속도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심리적 수용과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
-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고객의 불량 행동이 카지노 종사원들의 감정노동을 매개로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적응집락추출에 의한 보정추정에 대한 연구
- 치매 발병 여부 예측을 위한 통계적 모형 및 기계학습 기반 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 버퍼거리에 따른 공간 랜덤포레스트를 이용한 월 평균기온 예측 성능 비교
- 소매업체의 옴니채널 서비스가 고객경험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2020년 국회의원 선거 기간의 유튜브 빅데이터 분석
- 범죄자 프로파일링을 위한 존속 살인 연구
- 데이터마이닝과 통계적 기법에 의한 대학의 취업 및 진로 만족도에 대한 순차적 분석
- SAMC 알고리즘을 이용한 미디어 패널 개인화 추천 알고리즘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BEST
-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탐색
- 대학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 분석 및 이탈 예측: H 대학교를 중심으로
- 가정 내 아동학대 행위자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중심으로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NEW
- 생애주기별 경제문제와 결혼생활 평가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시간 흐름에 따른 정서 편향의 변화: 반응시간과 표류 확산 모델을 활용한 분석
- PLAS 기반 커뮤니티 텍스트 분석: 정치적 성향에 따른 언어 및 심리 특성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