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ervice Users’ Perception of Therapeutic Communic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이용수 87
- 영문명
- 치료적 소통에 대한 작업치료 서비스 이용자의 견해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최현(Hyeon Choi) 이선욱(Sun Wook Lee)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24권 제3호, 39~6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치료관계 소통모드 사용에 대해 재활치료 서비스 이용자의견해를 수집하고, 서비스 만족도 및 재활동기와의 관계성을 모색하였다. 단면설계 연구로서 편의추출방법을 통해 작업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250명의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설문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공감모드, 격려모드, 문제해결촉진모드, 협력관계모드, 안내모드, 옹호모드 순으로 모드사용 현황이 수집되었다. 모드사용 수준은 서비스 이용자의 재활동기(p < .05, r = .248~.338) 및 재활서비스 만족도와 (p < .05, r = .398~.602) 경도에서중도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 중 공감모드가 가장 높은 관계도를 보였다. 이항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이용자의 니즈 충족에 협력관계 모드가, 그리고 재활서비스 만족에 공감모드가 예측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했다.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임파워먼트, 니즈충족및 만족스러운 치료연대 확립을 통해, 생활참여 목표를 공유하는 보건의료서비스제공자와서비스이용자의 치료적 관계가 촉진될 것이다.
영문 초록
We conducted this study to explore how service users receiving rehabilitation services perceive their occupational therapists’ use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odes and to describe their association with, motivation for, and satisfaction with rehabilitation services. As a cross-sectional design, we used a convenient sample of 250 users who were invited to complete a written survey. Service users reported that empathizing mode was seen the most, followed by encouraging, problem-solving, collaborating, instructing, and advocating modes, from therapists. There was a mild to moderate association between the total score of the service users’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and the therapists’ modes used (p < .05, r = .248 ~.338) and the satisfaction for rehabilitation service (p < .05, r = .398 ~.602), where the empathizing mode was the most highly associated factor.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llaborating mode best predicts whether service users’ needs were met, and the empathizing mode best predicts service users’ satisfaction level regarding rehab services. Fostering a therapeutic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are service providers and service users for the shared goal of life participation is made possible by creating an empowering, needs-fulfilling, satisfying, and inventive therapeutic allianc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 Examination of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Changes in the Social Skills and Emotion of th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rough the Participating in Group Music Program
- Service Users’ Perception of Therapeutic Communic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 충북 어린이재활서비스 이용실태 및 관련 욕구 조사
-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 생활체육 참여 지체장애인의 회복탄력성이 장애수용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장애인활동지원과 사회참여의 관계
- 성인 장애인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욕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