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활체육 참여 지체장애인의 회복탄력성이 장애수용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69
- 영문명
- The Effect of Resilience of Disabled People Participating in Life Sports on Disability Acceptance and Euphoria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백재근(Jaekeun Baek)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24권 제3호, 159~17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활체육 참여 지체장애인의 회복탄력성과 장애수용 및 행복감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2017년~2019년 현재 장애인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총 250명을 표본 추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Window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회복탄력성은 장애수용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회복탄력성은 행복감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장애수용(자기만족)은 행복감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생활체육 참여 지체장애인의 행복감을 위한 회복탄력성과 장애수용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very resilience, disability acceptance and euphoria of disabled people participating in life sports. To achieve this, a total of 250 people with disabilities belonging to the Disabled Living Sports Association were sampled in Seoul in 2020,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Window SPSS 22.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resilience (controllability, positive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on disability acceptance.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programs based on the resilience of positive or optimistic to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Second, recovery elasticity (controllability, positive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uphoria. As a way to promote the happiness of the disabled, it was thought that the positive effect of the person who runs the program will have a major influence along with the application of a positive program of resilience that can develop control over impulses and emotions. Third, acceptance of disability (self-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uphoria.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efforts to increase subjective satisfaction will be required to promote the happiness of the physically challenged. It wa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basic data on recovery resilience and disability acceptance for the happiness of disabled people participating in life spor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 Examination of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Changes in the Social Skills and Emotion of th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rough the Participating in Group Music Program
- Service Users’ Perception of Therapeutic Communication in Occupational Therapy
- 충북 어린이재활서비스 이용실태 및 관련 욕구 조사
-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장애수용의 매개효과
- 생활체육 참여 지체장애인의 회복탄력성이 장애수용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장애인활동지원과 사회참여의 관계
- 성인 장애인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욕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