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재활사의 언어표본분석 경험 및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153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Experiences and Needs of Language Sample Analysis by Speech-Language Pathologists: Focused on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오소정(So Jung Oh) 윤지혜(Ji Hye Yoon) 이윤경(YoonKyoung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5. no.2, 169~18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재활사의 아동의 언어표본분석에 대한 인식이나 경험에 대한 견해를 종합하여 언어분석의 필요성이나 현황, 어려움에 대한 면담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언어평가 과정에서 발화 분석을 보다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방법: 아동언어분석에 경험이 있는 8명의 언어재활사가 아동언어평가 및 중재과정에서의 발화 분석의 필요성, 실시 현황과 요구에 대하여 심층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면담은 연구자들이 개발한 질문지에 기초하여 제 1연구자와 개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인터뷰 내용은 녹음하여 질적 연구의 연속적 비교법에 따라 전사, 코딩하였다. 결과: 인터뷰 내용을 전사하여 질적 분석한 결과 발화 분석의 현황에 대하여 2개 주제와 그에 따른 8개 소주제를 도출하였으며, 발화 분석에 대안에 대하여 4개 주제와 그에 따른 11개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 전문가들은 발화분석의 필요성은 공통적으로 인식하였으나 임상현장에서 발화분석을 실시하는 데에는 현실적 어려움이 있음을 언급하였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는 체계적인 표집 절차와 표준화된 분석 체계를 이용한 객관적 분석, 발화자료 축적을 통한 규준 비교 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간과 절약하기 위하여 자연어 처리기술이 포함된 컴퓨터화된 언어분석 활용도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Language sample analysis has been the “golden standard” in language assessment for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pinions of SLPs on their experiences with children’s language analysis and to find alternatives that could make the analysis more useful and robust. Methods: Eight SLPs with experience in language sample analysis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on the needs, implementation, and obstacles of language sample analysis in child language 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with the first researcher based on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and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cod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by transferring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2 topics and 8 sub-themes were derived for the current state of utterance analysis, and 4 topics for the alternatives to utterance analysis and 11 topics accordingly. Conclusion: All experts recognized the need for utterance analysis, but noted that there were practical difficulties in conducting utterance analysis in clinical settings. In order to properly realize the value of speech analysis in children’s language evaluation, three things need to be developed; systematic sampling procedures, objective analysis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ology, and norms and criteria through accumulation of sufficient language sample data for various age group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형태인식과 읽기이해의 관계에서 어휘력의 매개효과
- 정상 성인의 정서어휘에 대한 AAC 그림상징과 SNS 이모티콘의 인식 연구
- 한국 단일문화 및 다문화 아동의 정서행동 특성에 대한 부모 및 교사의 보고와 언어능력의 관계
- Validation of the 15-item Brief Inventory of Swallowing Ability (BISA-15) for Older Adults Based on a Rasch Analysis
- Parents’ Experiences and Acceptance Factors of AAC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 검사어에 따른 음운 오류패턴 비교
- 초등 3학년 어휘발달지체 위험군 아동의 형태소인식능력
- 음성장애 환자에서 음성 및 말 범위 프로파일을 이용한 추정 발화 기본주파수의 임상적 유용성
- 다문화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 예측요인에 대한 데이터 마이닝 의사결정나무모형 분석
-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 한국어 단일언어 일반아동 및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덩이짓기(chunking) 능력 비교
- Early Communicative Skills of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and Hearing Loss Depending on Chronological and Hearing Ages
- 파찰음, 마찰음, 유음의 왜곡 오류에 대한 발달 연구
-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컴퓨터 기반 검사와 종이 기반 검사의 수용 및 표현어휘 수행력 비교
- 자극 제시 유형 및 동사 논항구조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동사 이름대기 특징
- 학습장애 학생과 지적장애 학생의 언어문제해결력 하위 요소 비교
- 휴식상태 뇌기능자기공명영상을 활용한 파킨슨병 환자의 발성 관련 배쪽시상핵 기능연결성 분석
- E-Tran 보드에서의 한국어 모음 선택에 관한 연구
- 특수학교 상황에서 학령기 장애아동을 위한 특수교사와 언어재활사의 협력 현황에 대한 인식 및 강화 방안
- 성인의 언어자극 유형이 언어발달지연아동의 기능어 학습에 미치는 효과
- 언어재활사의 언어표본분석 경험 및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 일반아동과 고기능자폐아동의 존대법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능력 비교
- 시선추적을 활용한 청년층 및 노년층의 누구(who) 의문사처리 연구
- 말소리장애와 일반 아동의 정상적인 변이성과 병리적 비일관성
- 초등 저학년 아동의 언어학적 단위(단어/문장)에 따른 철자 쓰기 발달 특성
- 언어재활사의 언어표본분석 경험 및 요구에 관한 질적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