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극 제시 유형 및 동사 논항구조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동사 이름대기 특징
이용수 322
- 영문명
- Effects of Verb Argument Structure and the Types of Presentation Modality on Verb Production in Individuals with Aphasia Using a Verb-Final Language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윤헤수(Hyesoo Yoon) 성지은(Jee Eun Sung)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5. no.2, 399~41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실어증 환자와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정적 및 동적 자극유형으로 제시된 동사 논항구조에 따른 이름대기 수행능력을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실어증 환자 집단 내에서 자극유형별 이름대기 변인 중 실어증 중증도를 예측하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실어증 환자 16명과 정상 성인 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논항별 10개씩 총 40개의 목표 동사를 선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정적 자극과 동적 자극으로 이루어진 동사 이름대기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자극유형에 따른 제시 순서는 역균형화(counterbalancing)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실어증 집단이 정상 집단에 비해 자극유형에 따른 동사 논항별 이름대기 정반응률이 유의하게 낮았다. 정상 집단은 자극유형에 따라 동사 논항별 이름대기 수행력에 차이가 없었지만, 실어증 집단은 동적 자극으로 제시하였을 때 1항 비대격과 2항 동사에서 수행력이 증가하였다. 실어증 중증도를 예측하는 변인은 정적 자극으로 제시된 1항 비능격 및 1항 비대격 동사와 동적자극으로 제시된 1항 비대격 동사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실어증 환자는 뇌손상으로 인해 동사 산출에 어려움을 보였으나, 제시되는 자극유형에 따라 수행력 증가가 나타났다. 문장 내 대상(theme)이 주어로 이동하며 어순 도치로 인해 피동구조가 되는 통사적 복잡성을 가진 1항 비대격 동사의 조작부담이 실어증 중증도에 대해 설명력이 높은 변인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naming performance of persons with aphasia (PWA) by presentation mode and verb argument structure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can predict the severity of aphasia.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 aphasia patients and 16 normal individuals who were matched in age and years of education. Verb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one-place unergative, one-place unaccusative, two-place, three-place according to the argument structure, and were presented in static and dynamic modes. The correct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calculated and converted into accuracy (%). Results: The PWA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verb naming task.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verb naming task by verb argument structure and presentation mode, however PWA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erformance on one-place unaccusative and two-place verbs in both presentation modes. Among the variables by presentation mode and verb argument structure, the most predictive variables for severity of aphasia were one-place unergative and unaccusative verb in static mode which predicted the severity of aphasia at a rate of approximately 57.9%. For the dynamic mode, one-place unaccusative verbs were the most predictive variable for severity of aphasia and it predicted severity of aphasia 80.9% of the time.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WA had more difficulties in naming verbs than the control group and were affected by presentation mode for verb naming tasks. The severity of aphasia was predicted by computational load of passive structure process from object movement on one-place unaccusative verb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형태인식과 읽기이해의 관계에서 어휘력의 매개효과
- 정상 성인의 정서어휘에 대한 AAC 그림상징과 SNS 이모티콘의 인식 연구
- 한국 단일문화 및 다문화 아동의 정서행동 특성에 대한 부모 및 교사의 보고와 언어능력의 관계
- Validation of the 15-item Brief Inventory of Swallowing Ability (BISA-15) for Older Adults Based on a Rasch Analysis
- Parents’ Experiences and Acceptance Factors of AAC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 검사어에 따른 음운 오류패턴 비교
- 초등 3학년 어휘발달지체 위험군 아동의 형태소인식능력
- 음성장애 환자에서 음성 및 말 범위 프로파일을 이용한 추정 발화 기본주파수의 임상적 유용성
- 다문화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 예측요인에 대한 데이터 마이닝 의사결정나무모형 분석
-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 한국어 단일언어 일반아동 및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덩이짓기(chunking) 능력 비교
- Early Communicative Skills of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and Hearing Loss Depending on Chronological and Hearing Ages
- 파찰음, 마찰음, 유음의 왜곡 오류에 대한 발달 연구
-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컴퓨터 기반 검사와 종이 기반 검사의 수용 및 표현어휘 수행력 비교
- 자극 제시 유형 및 동사 논항구조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동사 이름대기 특징
- 학습장애 학생과 지적장애 학생의 언어문제해결력 하위 요소 비교
- 휴식상태 뇌기능자기공명영상을 활용한 파킨슨병 환자의 발성 관련 배쪽시상핵 기능연결성 분석
- E-Tran 보드에서의 한국어 모음 선택에 관한 연구
- 특수학교 상황에서 학령기 장애아동을 위한 특수교사와 언어재활사의 협력 현황에 대한 인식 및 강화 방안
- 성인의 언어자극 유형이 언어발달지연아동의 기능어 학습에 미치는 효과
- 언어재활사의 언어표본분석 경험 및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 일반아동과 고기능자폐아동의 존대법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능력 비교
- 시선추적을 활용한 청년층 및 노년층의 누구(who) 의문사처리 연구
- 말소리장애와 일반 아동의 정상적인 변이성과 병리적 비일관성
- 초등 저학년 아동의 언어학적 단위(단어/문장)에 따른 철자 쓰기 발달 특성
- 언어재활사의 언어표본분석 경험 및 요구에 관한 질적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