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장애 학생과 지적장애 학생의 언어문제해결력 하위 요소 비교
이용수 784
- 영문명
- Comparison of Language Problem Solving Ability’s Sub-elements between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기주(Ki-ju Kim) 김자경(Ja-kyoung Kim) 장성욱(Sung-wook Jang)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5. no.2, 288~298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학습장애(LD)와, 지적장애(ID), 일반 학생(TD)을 대상으로 언어문제해결력과 그 하위 요소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장애유형별, 학년별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LD 26명, ID 26명, ID 26명, 각 집단별 초등 1-2학년과 3-4학년 각각 13명씩, 총 7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언어문제해결력 검사를 실시하여 그 하위 요소별(원인 · 이유, 해결추론, 단서 · 추측)로 비교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언어문제해결력 총 점수는 학년 수준과 상관없이 ID가 LD보다 낮고, 두 집단 모두 TD보다 낮게 나타났다. 언어문제해결력 하위 요소 별로 살펴본 결과, 원인 · 이유와 해결추론 영역에서 1-2학년 LD는 TD와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으며, ID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3-4학년 LD는 ID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TD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단서 · 추측에서는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1-2학년 LD는 TD와 ID보다도 유의하게 낮았고, 3-4학년 LD는 유의한 수준은 아니지만 ID보다 났으며, TD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장애 유형 별로 학년 차이에 따른 언어문제해결력을 살펴본 결과, ID와 LD 모두 TD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이지만 학년이 올라가면서 발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LD는 단서 · 추측에서 ID보다 낮은 능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language problem-solving ability and sub-elements for students among learning disabilities (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and general students (TD).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total 78 students (26 LDs, 26 IDs, 26 TDs). Each group consisted of thirteen 1st-2nd graders and thirteen 3rd-4th graders. The language problem-solving ability test was conducted and compared by sub-elements (cause & reason, problem-solving, clue & prediction). Results: In total scores of the language problem-solving ability, the ID group had a lower score than the LD group, and the scores of the two groups were both lower than the TD group, regardless of their grade level. Comparison of the sub-elements of the language problem-solving ability showed that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LD group and the TD group in the sub-elements of cause & reason and problem-solving. As for the 1st-2nd graders, the scores of the LD and the TD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ID group. A different pattern was shown in the sub-element of clue & prediction: The scores of the LD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cores of the TD and the ID groups in 1st-2nd graders while, in 3rd-4th graders, the scores of the LD group were higher, but not so significantly, than the scores of the ID group an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cores of the TD group. Consequently, our analysis of the language problem-solving ability in terms of the grade levels and the disability types showed that both the ID and the LD groups showed lower levels than the TD group,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two groups improved as their grade levels increased. Conclusion: The LD group showed lower abilities than the ID group in the sub-element of clue & prediction. Based on the results, future research issues were discussed.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형태인식과 읽기이해의 관계에서 어휘력의 매개효과
- 정상 성인의 정서어휘에 대한 AAC 그림상징과 SNS 이모티콘의 인식 연구
- 한국 단일문화 및 다문화 아동의 정서행동 특성에 대한 부모 및 교사의 보고와 언어능력의 관계
- Validation of the 15-item Brief Inventory of Swallowing Ability (BISA-15) for Older Adults Based on a Rasch Analysis
- Parents’ Experiences and Acceptance Factors of AAC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 검사어에 따른 음운 오류패턴 비교
- 초등 3학년 어휘발달지체 위험군 아동의 형태소인식능력
- 음성장애 환자에서 음성 및 말 범위 프로파일을 이용한 추정 발화 기본주파수의 임상적 유용성
- 다문화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 예측요인에 대한 데이터 마이닝 의사결정나무모형 분석
- 한국어-영어 이중언어 일반아동, 한국어 단일언어 일반아동 및 단순언어장애아동의 덩이짓기(chunking) 능력 비교
- Early Communicative Skills of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and Hearing Loss Depending on Chronological and Hearing Ages
- 파찰음, 마찰음, 유음의 왜곡 오류에 대한 발달 연구
- 언어발달지연 아동의 컴퓨터 기반 검사와 종이 기반 검사의 수용 및 표현어휘 수행력 비교
- 자극 제시 유형 및 동사 논항구조에 따른 실어증 환자의 동사 이름대기 특징
- 학습장애 학생과 지적장애 학생의 언어문제해결력 하위 요소 비교
- 휴식상태 뇌기능자기공명영상을 활용한 파킨슨병 환자의 발성 관련 배쪽시상핵 기능연결성 분석
- E-Tran 보드에서의 한국어 모음 선택에 관한 연구
- 특수학교 상황에서 학령기 장애아동을 위한 특수교사와 언어재활사의 협력 현황에 대한 인식 및 강화 방안
- 성인의 언어자극 유형이 언어발달지연아동의 기능어 학습에 미치는 효과
- 언어재활사의 언어표본분석 경험 및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 일반아동과 고기능자폐아동의 존대법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조율능력 비교
- 시선추적을 활용한 청년층 및 노년층의 누구(who) 의문사처리 연구
- 말소리장애와 일반 아동의 정상적인 변이성과 병리적 비일관성
- 초등 저학년 아동의 언어학적 단위(단어/문장)에 따른 철자 쓰기 발달 특성
- 언어재활사의 언어표본분석 경험 및 요구에 관한 질적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