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대학교 학생용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367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cale on University Adjustment for Student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준섭(Choi, Joonsup)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8호, 1047~106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의 특수성을 고려한 교육대학교 학생용 학교적응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교적응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교육대학교 재학생의 경험을 반영한 총 48개 문항에 대해, 중복문항을 제외한 후 내용 및 안면타당도 검토를 거쳐 32문항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결과에 대해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차례로 실시하여 6개 영역, 28개 문항을 본 조사를 위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전국 10개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38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적합도를 검증하였고, 학교만족도, 학교소진척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수렴 및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척도는 교우관계, 학업성취, 전공만족, 교수관계, 수업흥미, 학교문화의 총 6요인, 28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전체 변량의 약 69%를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척도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university adjustment scale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school adjustment, a total of 48 questions were drawn, reflecting the experiences of students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fter excluding duplicate questions, th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32 questions after reviewing contents and facial validity. For the preliminary survey results,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arried out in order, and 6 factors and 28 items were composed as the items for the survey. Finall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438 students from 10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to verify their suitability. In addition, convergence and discrimination validity were ver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with school satisfaction and school burnout scale. The final scale was composed of a total of 6 factors consisting of 28 questions on peer relationship, academic achievement, major satisfaction, relationship with professor, class interest, and university culture. These six factors accounted for 69% of the total variance.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cale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부장제에 대응하는 민주시민 교육의 과제
-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지위, 문화적응 스트레스, 부모효능감에 대한 종단연구
- 하브루타 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전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고등학교 가정 교과 독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온라인 기반 대학교육 환경에서 학습자 실재감 강화를 위한 교수설계자의 실천과제 연구
- 피지컬컴퓨팅 활용 과학적 문제해결교육이 고등학생의 컴퓨팅사고(CT)에 미치는 효과
- A Study on Hierarchy among Sub-Characteristics of Vocabulary Knowledge
- 유아교사 심미감 척도 개발 연구
- 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건강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일과 삶 균형 매개효과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ollege English Teachers in China
- Adult Literacy as Social Formation of Mind: A Network Text Analysis of Poems by Literacy Learners
-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정확성을 위한 자가 피드백 사례 연구
- 원어민 팀티칭 유형에 따른 학습 자료 활용 분석
- 대학생이 인식한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교사와 유아가 함께하는 놀이, 연극놀이의 경험
- 대학 교양교육에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미술교과 수업 사례연구
- 초등학생을 위한 디자인씽킹기반 학습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인식의 관계
- 학문 목적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성취 관련 변인 분석
- 대학교양수업의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
- 청소년의 진로설계역량에 대한 예측변인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역량 교육 실행을 위한 교원 연수 실태 분석
- 간호대학생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고등학생의 과학 연구보고서 제목 작성에서 나타나는 오류 분석
-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 구성주의에 기반한 창의적 체육수업 사례 탐색
- 다문화 성장소설을 통한 도덕교육의 가능성
- Relationship between Sleep, Academic Achievement, Depression and Anxiety in High School Students
- 도구를 활용한 신체게임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 중학교 방과후 무용수업에서 학급전체 또래교수의 활용 가능성 탐색 연구
-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학령기 아동의 형태소인식과 어휘능력
- 교육대학교 학생용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청취유형에 따른 유전 영역 개념에 대한 기억 네트워크 분석
-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일반고 교·강사 제도의 운영 실태 분석
-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학습권보장제에 대한 고등학교 탁구부 남자 학생선수의 인식
-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소고
- 유아의 음악능력과 성취동기, 지적능력 운동능력 간의 관계분석
- 다문화 가정 자녀의 아동·청소년기 자기존중감의 다중 발달궤적과 예측 요인
- 음식이 그려진 명화를 활용한 유아 요리활동이 유아의 미술감상능력과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효과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etacognitive Strategies o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Writing for College Students
- 심리극 집단상담의 대학생 외상 치유 효과
- 역사과 교과 역량에 대한 역사가와 역사교사의 인식
-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 도입에 대한 교육 현장과 전문가의 인식 분석
- 이중수직선을 이용한 분수 나눗셈 지도에 대한 고찰
- 고등학생의 여가 스포츠 참여 동기와 여가 몰입 및 생활 만족의 구조모형 분석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원수급 관련 쟁점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통일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춤에서의 ‘도덕적 상상력’과 도덕에 있어 ‘미적 상상력’
- 사회과에서 안전교육의 실제적인 접목을 위한 지역학습 교재 개발
-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방법을 적용한 일본의 치료놀이 방안 탐색 연구
- 초·중학생의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탐색
- ‘독산누리사회적협동조합’ 참여자의 활동 경험과 그 의미
-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중등교사 임용시험 영어교과교육학의 출제경향 분석
-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인증 지표 설계 연구
- Action Research on Task-Based Language Teaching (TBLT) for College Students’ English Ability and their Perceptions
- 간호대학생의 환경행동 지식과 태도가 불용의약품에 관한 환경행동 수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읽기 능력 수준에 따른 읽기 동기 및 읽기 태도 분석
- 저학년 간호대학생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리얼리즘 소설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 문화교육 연구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현장실습 적응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의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