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ossibility of Moral Education through Multicultural Adolescent nove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은주(Jung Eun J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8호, 875~90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도덕성의 관점에서 다문화 성장소설을 통한 도덕교육의 가능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다문화 성장소설인『이슬람 정육점』을 텍스트로 삼아 도덕성 요소의 방법과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Wilson의 합리적·탈문화적 관점을 근간으로 하여 도덕성의 개념을 문제해결을 위한 절차적 과정으로 접근하고, 그가 제시한 도덕성의 요소인 4개의 범주, 16개의 하위 요소를 통해서 도덕성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전략을 살펴보았다. 논의 결과, 첫째, 다른 사람을 나와 동등하게 고려하기(PHIL)의 도덕 원리를 살피고, 둘째, 사람들의 정서·감정을 인식하며(EMP), 셋째, ‘엄연한’ 사실적 지식과 사회적 기술을 습득하며(GIG) , 끝으로, 도덕적 문제를 인식, 사고, 판단(결정)하여 행동하기(KRAT)를 통해 도덕적 문제 해결의 절차를 밝혔다. 이로써, 학습자들에게 다문화 청소년 성장소설을 통해 특정한 가치나 도덕규범의 전수를 강조하기 않고, 합리적 사고에 기초한 일련의 절차와 방법으로 학습자들의 도덕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구체화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도덕성 함양 교육이 정서·감정적 측면뿐만 아니라, 인지적·행동적인 측면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possibility of moral education through multicultural adolescent novel from the viewpoint of morality. Using the multicultural adolescent nove『Islamic Butcher Shop』 as a text, I tried to find a method and strategy for the moral element. Accordingly, based on Wilson s rational and independent perspective, the concept of morality is approached as a procedural process for problem solving, and concrete to realize morality through 4 categories and 16 sub-elements of morality he proposed We examined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first, examine the moral principles of considering others equally with me (PHIL), second, recognize people s emotions and feelings (EMP), and third, acquire strict factual knowledge and social skills (GIG) Finally, the process of solving a moral problem was revealed through the recognition, thinking, judgment (decision) and action (KRAT) of the moral problem. Through this, we tried to materializ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an cultivate learners morality through a series of procedures and methods based on rational thinking, without emphasizing the transmission of specific values or moral norms through multicultural adolescent novel. Through these discus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which moral education can encompass not only emotional and emotional aspects but also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목차
Ⅰ. 서론
Ⅱ. Wilson의 도덕성 요소
Ⅲ.『이슬람 정육점』에 나타난 도덕성 요소의 방법과 전략
Ⅳ.『이슬람 정육점』의 도덕적 문제해결의 절차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생의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
- 읽기 능력 수준에 따른 읽기 동기 및 읽기 태도 분석
- 교육대학교 학생용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인증 지표 설계 연구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현장실습 적응에 관한 연구
- 중학교 방과후 무용수업에서 학급전체 또래교수의 활용 가능성 탐색 연구
-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하브루타 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전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학령기 아동의 형태소인식과 어휘능력
- 다문화 가정 자녀의 아동·청소년기 자기존중감의 다중 발달궤적과 예측 요인
- A Study on Hierarchy among Sub-Characteristics of Vocabulary Knowledge
- 음식이 그려진 명화를 활용한 유아 요리활동이 유아의 미술감상능력과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효과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etacognitive Strategies o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Writing for College Students
- 심리극 집단상담의 대학생 외상 치유 효과
- 춤에서의 ‘도덕적 상상력’과 도덕에 있어 ‘미적 상상력’
- 사회과에서 안전교육의 실제적인 접목을 위한 지역학습 교재 개발
- 고등학생의 과학 연구보고서 제목 작성에서 나타나는 오류 분석
- 초·중학생의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탐색
- Adult Literacy as Social Formation of Mind: A Network Text Analysis of Poems by Literacy Learners
- 유아교사 심미감 척도 개발 연구
- 고등학교 가정 교과 독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건강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일과 삶 균형 매개효과
- 원어민 팀티칭 유형에 따른 학습 자료 활용 분석
- 학습권보장제에 대한 고등학교 탁구부 남자 학생선수의 인식
- 청소년의 진로설계역량에 대한 예측변인 분석
-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정확성을 위한 자가 피드백 사례 연구
- 유아의 음악능력과 성취동기, 지적능력 운동능력 간의 관계분석
- 이중수직선을 이용한 분수 나눗셈 지도에 대한 고찰
- 교사와 유아가 함께하는 놀이, 연극놀이의 경험
- 대학 교양교육에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미술교과 수업 사례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인식의 관계
- 대학교양수업의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역량 교육 실행을 위한 교원 연수 실태 분석
- 간호대학생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ollege English Teachers in China
-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일반고 교·강사 제도의 운영 실태 분석
-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중등교사 임용시험 영어교과교육학의 출제경향 분석
- 피지컬컴퓨팅 활용 과학적 문제해결교육이 고등학생의 컴퓨팅사고(CT)에 미치는 효과
-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 도입에 대한 교육 현장과 전문가의 인식 분석
- 고등학생의 여가 스포츠 참여 동기와 여가 몰입 및 생활 만족의 구조모형 분석
-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방법을 적용한 일본의 치료놀이 방안 탐색 연구
- ‘독산누리사회적협동조합’ 참여자의 활동 경험과 그 의미
- 저학년 간호대학생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지위, 문화적응 스트레스, 부모효능감에 대한 종단연구
- 리얼리즘 소설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 문화교육 연구
- 간호대학생의 환경행동 지식과 태도가 불용의약품에 관한 환경행동 수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가부장제에 대응하는 민주시민 교육의 과제
- Action Research on Task-Based Language Teaching (TBLT) for College Students’ English Ability and their Perceptions
-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청취유형에 따른 유전 영역 개념에 대한 기억 네트워크 분석
-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소고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원수급 관련 쟁점
- 역사과 교과 역량에 대한 역사가와 역사교사의 인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통일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대학생이 인식한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초등학생을 위한 디자인씽킹기반 학습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 온라인 기반 대학교육 환경에서 학습자 실재감 강화를 위한 교수설계자의 실천과제 연구
- 학문 목적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성취 관련 변인 분석
-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 구성주의에 기반한 창의적 체육수업 사례 탐색
- 다문화 성장소설을 통한 도덕교육의 가능성
- Relationship between Sleep, Academic Achievement, Depression and Anxiety in High School Students
- 도구를 활용한 신체게임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Farmers' Mobilization in the Shaanxi-Gansu-Ningxia Border Region During the Full-Scale War of Resistance Against Japan: An Analysis Based on the Psychological Demand Motivation Theory
- The Theoretical Logic and Historical Orientation of Comprehensively Deepening Refor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letarian Revolution
- Examining and Rethinking the Theory of Capitalist Justice in the Perspective of Materialistic Histo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