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리얼리즘 소설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 문화교육 연구
이용수 682
- 영문명
- A Study on the Korean Culture Education of Korean Learners Using Realism novel: Focused on Wuhwangchungshimhwa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리(Yu R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8호, 925~9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리얼리즘 소설을 활용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 문화교육을 위한 교육을 설계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 과정에서 지금까지 한국어교육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깊이 있게 논의되지 못하고 있는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교육의 의의를 밝혔다. 또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교육 영역으로서의 문화교육의 구성 요소를 설정하였다. 한국 문화교육의 요소를 언어 문화, 문화 지식, 문화 관점으로 나누어 살피고, 이 요소들이 반영된 박완서의 소설 「우황청심환」에서 구체적 내용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교육 방안을 설계하였다. 리얼리즘 소설은 현실의 재현을 중시하며 전형적 환경과 인물을 통해 현실을 재현하는 장르이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의 문화를 확인하게 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편적인 지식 위주의 한국 문화에 대한 인식이 아니라 보다 깊이 있게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 문화를 다양한 관점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리얼리즘 소설 「우황청심환」을 통해 실제 교수 · 학습 상황에서의 교육을 설계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Korean language learners education for Korean culture by utilizing realism novel. This paper revealed the significance of the education of literatu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s been continuously conducted until now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has not been discussed in depth. In addition, the elements of cultural education as an are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established based on prior research. The elements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were divided into language culture, culture knowledge, and cultural perspectives, and the details were confirmed in Park Wan-seo s novel, Wuhwangchungshimhwan , which reflects these elements, and education plans were designed. Realism novels can be an important source of confirm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s they are genres that value the reenactment of reality and reproduce reality through typical environments and characters. The focus of this study was not on the perception of Korean culture based on fragmentary knowledge, but rather on designing education in real teaching situations through the realism novel Wuhwangchungshimhwan to allow Korean language learners to experience Korean culture more deeply from various perspectives.
목차
Ⅰ. 서 론
Ⅱ.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교육과 문학교육
Ⅲ. 리얼리즘 소설과 한국 문화교육
Ⅳ. 리얼리즘 소설을 활용한 한국 문화교육의 설계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부장제에 대응하는 민주시민 교육의 과제
-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사회경제적 지위, 문화적응 스트레스, 부모효능감에 대한 종단연구
- 하브루타 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전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고등학교 가정 교과 독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온라인 기반 대학교육 환경에서 학습자 실재감 강화를 위한 교수설계자의 실천과제 연구
- 피지컬컴퓨팅 활용 과학적 문제해결교육이 고등학생의 컴퓨팅사고(CT)에 미치는 효과
- A Study on Hierarchy among Sub-Characteristics of Vocabulary Knowledge
- 유아교사 심미감 척도 개발 연구
- 유아교사가 지각한 조직건강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일과 삶 균형 매개효과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College English Teachers in China
- Adult Literacy as Social Formation of Mind: A Network Text Analysis of Poems by Literacy Learners
-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정확성을 위한 자가 피드백 사례 연구
- 원어민 팀티칭 유형에 따른 학습 자료 활용 분석
- 대학생이 인식한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교사와 유아가 함께하는 놀이, 연극놀이의 경험
- 대학 교양교육에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미술교과 수업 사례연구
- 초등학생을 위한 디자인씽킹기반 학습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인식의 관계
- 학문 목적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 성취 관련 변인 분석
- 대학교양수업의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
- 청소년의 진로설계역량에 대한 예측변인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역량 교육 실행을 위한 교원 연수 실태 분석
- 간호대학생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고등학생의 과학 연구보고서 제목 작성에서 나타나는 오류 분석
-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 구성주의에 기반한 창의적 체육수업 사례 탐색
- 다문화 성장소설을 통한 도덕교육의 가능성
- Relationship between Sleep, Academic Achievement, Depression and Anxiety in High School Students
- 도구를 활용한 신체게임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 중학교 방과후 무용수업에서 학급전체 또래교수의 활용 가능성 탐색 연구
-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학령기 아동의 형태소인식과 어휘능력
- 교육대학교 학생용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청취유형에 따른 유전 영역 개념에 대한 기억 네트워크 분석
-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일반고 교·강사 제도의 운영 실태 분석
-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 학습권보장제에 대한 고등학교 탁구부 남자 학생선수의 인식
-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대한 소고
- 유아의 음악능력과 성취동기, 지적능력 운동능력 간의 관계분석
- 다문화 가정 자녀의 아동·청소년기 자기존중감의 다중 발달궤적과 예측 요인
- 음식이 그려진 명화를 활용한 유아 요리활동이 유아의 미술감상능력과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효과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etacognitive Strategies o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Writing for College Students
- 심리극 집단상담의 대학생 외상 치유 효과
- 역사과 교과 역량에 대한 역사가와 역사교사의 인식
-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 도입에 대한 교육 현장과 전문가의 인식 분석
- 이중수직선을 이용한 분수 나눗셈 지도에 대한 고찰
- 고등학생의 여가 스포츠 참여 동기와 여가 몰입 및 생활 만족의 구조모형 분석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원수급 관련 쟁점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통일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춤에서의 ‘도덕적 상상력’과 도덕에 있어 ‘미적 상상력’
- 사회과에서 안전교육의 실제적인 접목을 위한 지역학습 교재 개발
- “아이의 눈으로 수업 보기” 방법을 적용한 일본의 치료놀이 방안 탐색 연구
- 초·중학생의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탐색
- ‘독산누리사회적협동조합’ 참여자의 활동 경험과 그 의미
-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중등교사 임용시험 영어교과교육학의 출제경향 분석
-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인증 지표 설계 연구
- Action Research on Task-Based Language Teaching (TBLT) for College Students’ English Ability and their Perceptions
- 간호대학생의 환경행동 지식과 태도가 불용의약품에 관한 환경행동 수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읽기 능력 수준에 따른 읽기 동기 및 읽기 태도 분석
- 저학년 간호대학생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리얼리즘 소설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 문화교육 연구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현장실습 적응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의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