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파워 저항운동이 여성노인의 체력, 근육량 및 단기운동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1
- 영문명
- Effect of power resistance intervention on fitness and muscle mass and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in older women adults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오유성(Yoo-Sung Oh) 박우영(Woo-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7권 제1호, 114~123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9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파워 저항운동이 여성노인의 체력, 근육량 및 단기운동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피검자는 70세 이상의 천안시 거주 여성노인 30명을 파워 저항운동군 15명과 일반 저항운동군 15명으로 분류하였다. 파워 저항운동군은 속도를 빠르게 하는 저항운동을 일반 저항운동군은 평소속도의 운동을 주 3회 60분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근력은 두 저항운동군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고, 전신지구력에서는 파워 저항운동군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 단기운동수행력 중 2.44m왕복걷기는 파워 저항운동군에서, 400m걷기에서는 두 저항운동군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체력과 근량 및 단기운동수행력에서 두 운동방법의 효과는 충분하나 파워저항운동이 다소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aimed the effects of power resistance training(PRT) on fitness, muscle mass and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SPPB) elderly women. Thirty older woman(aged 70 over years) were divided in two groups : PRT(n=15) and traditional resistance training(TRT)(n=15). The volunteers trained three times a week, during 12weeks. Both groups performed an equal work output with load red color thera-band. Three sets of twelve repetitions of each exercise were performed with rest intervals of 60s between sets. According to the results. Main fitness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in grip strength(TRT) and cardiopulmonary. Muscl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And Timed up and go and 400m walking(TRT)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There is sufficient effects on between training method in fitness, SPPB but PRT training may yield better results compared with TRT.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논 의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이 카누선수의 심폐기능, 체간 등속성 근력과 무산소성 파워에 미치는 영향
- 파워 저항운동이 여성노인의 체력, 근육량 및 단기운동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 진생베리 발효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
- 빅데이터 분석과 헬스케어에 대한 동향
- 방사선 육종 차조기와 백출 복합추출물의 항관절염 효과
- 국내 자생 콩과 5종 염료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비교
- 전자코를 이용한 홍삼 농축액의 원산지 판별을 위한 향기패턴 분석
- 하수오 추출물(Polygonum multiflorum)이 아토피 피부염 유발 NC/Nga 생쥐의 알레르기 반응에 미치는 영향
- 골프참여자의 코치지원과 성취목표성향 및 참여지속의도의 관계
- 구아바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력 분석
- 선박용 중속엔진 오일냉각용 판형쿨러의 전열성능에 관한 연구
- 스플릿 레더 코팅을위한 폴리 카프로 락톤 디올 기반 수성 폴리 우레탄의 제조 및 물리적 특성
- 열수 및 80% 에탄올로 추출한 만자카니(Quercus infectoria Olivier)의 생리활성 비교연구
- 무릎 푸시업 플러스 동작의 슬링과 진동기 적용이 정상인의 체간 근육 근활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붉나무 열매 추출물의 항균효능 평가에 관한 연구
- 트레드밀 운동이 고지방 식이 쥐 심근세포의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성인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영향요인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Glycyrrhiza glabra L. 유래 Glabridin의 피부 및 미용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백 스쿼트 시 가변저항이 스티킹 포인트에 미치는 영향
- 골프 레슨자가 인식한 레슨프로의 코칭 행동이 레슨만족 및 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