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자생 콩과 5종 염료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비교
이용수 59
- 영문명
- Comparison on Anti-oxidant Effects of Pigment Extracts from Fabaceae 5 species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김혜란(Hye-Ran Kim) 장경수(Kyung-Soo Chang) 장정현(Jeong Hyun Ch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7권 제1호, 7~1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9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콩과는 전 세계적으로 약용식물로 흔히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이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염료식물인 콩과에 속하는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소목(Caesalpinia sappan L.),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 갈근 및 갈화(Pueraria lobate O.), 자단향(Pterocarpus santalinus L.)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능 및 세포 보호능을 비교하고자 한다. 염료 추출물은 라디칼 소거능, 총 페놀 함량 및 MTT assay를 활용한 간세포 보호능이 확인되었다. 소목(5 mg/mL) 추출물에서 93.49%의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으며, 황기(5 mg/mL) 추출물에서 7.83%의 가장 낮은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목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310.93 mg GAE/g extract로 확인되며, 가장 높은 총 페놀함량을 확인하였고, 황기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15.33 mg GAE/g extract로 확인되며 가장 낮은 총 페놀 함량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가장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낸 소목(100 μg/mL) 및 자단향(100 μg/mL) 추출물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 콩과 5종 물질 중 적색 천연색소를 가지는 소목 및 자단향에서 높은 항산화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Fabaceae family are being used as traditional medici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tioxidant effects as well as the cell protecting effects of extracts of 5 species(Astragalus membranaceus, Caesalpinia sappan L., Glycyrrhiza uralensis F., Pueraria lobate O., Pterocarpus santalinus L.) in Fabaceae family. The extracts from 5 species were tested b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st, total phenolic contents and the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on human liver carcinoma (HepG2) cell line. Anti-oxidant effects of the extracts (5 mg/mL) from C. sappan was 93.49% b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st. In addition, A. membranaceus extracts showed a weak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ti-oxidant effects of the extracts (5 mg/mL) from A. membranaceus was 7.83% b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st. Total phenolic contents of the extracts from C. sappan and A. membranaceus were 310.93 mg GAE/g extract, 15.33 mg GAE/g extract, respectively. Cell protecting effects against H2O2 treatment were observed at 100 μg/mL concentration of C. sappan and P. santalinus extra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 sappan and P. santalinus might be best anti-oxidant in Fabaceae family.
목차
1. 서 론
2. 실 험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이 카누선수의 심폐기능, 체간 등속성 근력과 무산소성 파워에 미치는 영향
- 파워 저항운동이 여성노인의 체력, 근육량 및 단기운동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 진생베리 발효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
- 빅데이터 분석과 헬스케어에 대한 동향
- 방사선 육종 차조기와 백출 복합추출물의 항관절염 효과
- 국내 자생 콩과 5종 염료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비교
- 전자코를 이용한 홍삼 농축액의 원산지 판별을 위한 향기패턴 분석
- 하수오 추출물(Polygonum multiflorum)이 아토피 피부염 유발 NC/Nga 생쥐의 알레르기 반응에 미치는 영향
- 골프참여자의 코치지원과 성취목표성향 및 참여지속의도의 관계
- 구아바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력 분석
- 선박용 중속엔진 오일냉각용 판형쿨러의 전열성능에 관한 연구
- 스플릿 레더 코팅을위한 폴리 카프로 락톤 디올 기반 수성 폴리 우레탄의 제조 및 물리적 특성
- 열수 및 80% 에탄올로 추출한 만자카니(Quercus infectoria Olivier)의 생리활성 비교연구
- 무릎 푸시업 플러스 동작의 슬링과 진동기 적용이 정상인의 체간 근육 근활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붉나무 열매 추출물의 항균효능 평가에 관한 연구
- 트레드밀 운동이 고지방 식이 쥐 심근세포의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성인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영향요인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Glycyrrhiza glabra L. 유래 Glabridin의 피부 및 미용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백 스쿼트 시 가변저항이 스티킹 포인트에 미치는 영향
- 골프 레슨자가 인식한 레슨프로의 코칭 행동이 레슨만족 및 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