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생베리 발효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
이용수 81
- 영문명
- Study on Cosmeceutical Activities from Fermented Ginseng Berry Extracts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김일출(Il-Chool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7권 제1호, 28~37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2.29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진생베리는 진세노사이드 Re을 다량함유하고 있고 항염, 항암, 혈당강하 및 미백효과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Rhizopus Oligosporus 균주를 이용하여 진생베리 발효공정을 확립하였으며 진생베리 발효물에 대한 화장품 약리활성을 분석하였다. 발효에 의한 인삼 베리 추출물의 전자 공여 능력은 1,000 μg/mL 농도에서 81 %를 나타냈다. ABTS+ 라디칼 소거능 1,000 μg/mL 농도에서 100.2% 효과를 나타내었다. 피부 미백과 관련된 티로시나 아제 억제 효과는 1,000 μg /mL 농도에서 57%였다. 피부 주름과 관련된 엘라스타제 억제효과는 1,000 μg/mL 농도에서 47%였다. 또한, 콜라게나제 억제 효과는 1,000 μg/mL 농도에서 33%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진생베리 발효물이 항염과 미백, 주름개선 효능을 가진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진생베리 발효물이 향우 항염 및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Ginseng berry contains a large amount of Ginsenoside Re and has anti-inflammatory, anticancer, hypoglycemic and whitening effects. In this study, Rhizopus Oligosporus strain was used to establish ginseng berry fermentation process and cosmetic pharmacological activity of ginseng berry fermented product was analyzed..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ginseng berry extract by fermentation shown 81% at 1,000 μg/mL concentration.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shown 100.2% at 1,000 μg/mL concentration.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which is related to skin-whitening, was 57% at the concentration of 1,000 μg/mL. The elastase inhibitory effect which is related to skin-wrinkle, was 47% at 1,000 μg/mL concentration. Also, the collagenase inhibition effect was 33% at 1,000 μg/mL concentration. From these results, ginseng berry extracts by fermentation is considered to have anti-inflammatory, anti-wrinkle effect and whitening effect. Therefor, ginseng berry fermented product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as an anti-inflammatory and anti-aging cosmetic raw material.
목차
1. 서 론
2. 실 험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이 카누선수의 심폐기능, 체간 등속성 근력과 무산소성 파워에 미치는 영향
- 파워 저항운동이 여성노인의 체력, 근육량 및 단기운동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 진생베리 발효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
- 빅데이터 분석과 헬스케어에 대한 동향
- 방사선 육종 차조기와 백출 복합추출물의 항관절염 효과
- 국내 자생 콩과 5종 염료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비교
- 전자코를 이용한 홍삼 농축액의 원산지 판별을 위한 향기패턴 분석
- 하수오 추출물(Polygonum multiflorum)이 아토피 피부염 유발 NC/Nga 생쥐의 알레르기 반응에 미치는 영향
- 골프참여자의 코치지원과 성취목표성향 및 참여지속의도의 관계
- 구아바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력 분석
- 선박용 중속엔진 오일냉각용 판형쿨러의 전열성능에 관한 연구
- 스플릿 레더 코팅을위한 폴리 카프로 락톤 디올 기반 수성 폴리 우레탄의 제조 및 물리적 특성
- 열수 및 80% 에탄올로 추출한 만자카니(Quercus infectoria Olivier)의 생리활성 비교연구
- 무릎 푸시업 플러스 동작의 슬링과 진동기 적용이 정상인의 체간 근육 근활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붉나무 열매 추출물의 항균효능 평가에 관한 연구
- 트레드밀 운동이 고지방 식이 쥐 심근세포의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성인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영향요인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Glycyrrhiza glabra L. 유래 Glabridin의 피부 및 미용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백 스쿼트 시 가변저항이 스티킹 포인트에 미치는 영향
- 골프 레슨자가 인식한 레슨프로의 코칭 행동이 레슨만족 및 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