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령사회를 대비한 민간협력 활용 소방서비스 개선방안
이용수 288
- 영문명
- A Study on Public-Private Partnership for Providing Effective Fire Administration Service in Aging Society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신우리(Shin, Woo-Ri)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韓國民間警備學會報 第18券 第3號, 155~17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전세계에서 유래없이 빠른 속도로 고령사회에 진입하였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소방의 활동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노인은 신체적·정신적으로 허약하며, 질병과 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으므로 구조·구급 수요의 증가가 예상되며, 이는 소방의 활동영역의 확대 및 급증을 의미한다. 그러나 인력 및 재정의 한계와 점점 광범위해지는 재난의 특성상 민관협력을 통한 민간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사회에서 요구되는 소방서비스의 효과적 제공을 위한 민관협력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의용소방대 등의 민간자원을 활용한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안전네트워크의 구축을 통하여 최소한의 사회적 안전장치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 눈높이에 맞춘 생활안전 응급처치 교육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민관협력 방안을 통하여 령자 등의 재난취약계층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소방서비스가 효율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rea of firefighting has been expanded from the suppression of fire to the management of various disaster accidents and active public service and relief efforts, which are volunteer work. In particular, in future societies where problems caused by aging and low birth rates are expected to become much more serious, the scope of fire fighting is expected to be expanded further, and the types of fire fighting tasks are also expected to diversify. Korea is aging rapidly, and this has affected the area of fire fighting. In other words, safety of the elderly, who are vulnerable to disasters,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and the fire area is expected to increase in various fire demands, such as rescue and first aid, in addition to firefighting.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manpower and finances, efficient use of private resources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s has become necessary. This study presented a measure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for the effective provision of Fire Administration Service required in the aged society.
목차
Ⅰ. 서 론
Ⅱ. 고령사회 현상과 재난취약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
Ⅲ. 고령화에 따른 소방서비스의 실태분석과 문제점
Ⅳ. 효과적 소방서비스 제공을 위한 민관협력방안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