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간경비업체 사회공헌활동의 필요성 탐색
이용수 76
- 영문명
- Explore the Need f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Private Security Companies
- 발행기관
- 한국민간경비학회
- 저자명
- 박영만(Park, Young-Man)
- 간행물 정보
- 『한국민간경비학회보』韓國民間警備學會報 第18券 第3號, 95~11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민간경비업체의 사회공헌활동의 필요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이루어졌다. 예비조사 단계에서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연구문제를 명확히 하기 위하 주요 항목을 탐색하였으며 본조사에서는 예비 조사에서 탐색된 주요어를 중심으로 개방형 설문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 개별 조사 또는 집단면담 조사 등을 병행하여 델파이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민간경비업체의 사회공헌 활동의 필요성을 개념적으로 규명 할 수 있었다. 민간경비업체의 사회공헌활동은 내부적으로 기업 내 구성원의 결속력을 높이고 직무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와 행동을 조장하는 주요 기재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민간경비업체의 조직적 사회공헌활동과 함께 종사원 스스로 개별적인 사회공헌활동도 독려하는 체계를 만드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그리고 외부적으로 민간경비업체의 잠재적 고객이 존재하는 지역사회에서 긍정적 이미지를 창출 할 수 있으며 유료 경호경비를 수행하는 업체들의 고비용 자효가에 대한 편견과 진입장벽을 감소시킨다는 측면에서 사회공헌 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의견을 수렴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ed f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private security companies. In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stage, the main items were searched to clarify research problems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In this study, the main survey found in the preliminary survey was centered on open questionnaires, By using Delphi technique, we could conceptualize the necessity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private security companies.
Sinc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private security companies can be used internally as a key information for enhancing the solidarity of members in the company and promoting positive thinking and action for their duties, employe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We have gathered expert opinions that it would be effective to create a system that encourages activiti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a positive image in the community where potential customers of private security companies exist, and it is necessary to positively engage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in terms of reducing prejudices and barriers to entry of high- As well as the need to conduct the surve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