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세 지식인 가이바라 에키켄(貝原益軒)의 기행문 속 지리지식과 여행의 의의* – 학문관과 여행 방식을 단서로 -
이용수 44
- 영문명
- The Significance of Geographical Knowledge and Travel in his Travel Writings of Kaibara‐Ekiken, Known as an Intellectual in the Edo Period - Using Clues to Academic Views and the Way to Travel -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최승은(Choi, Seung-Eun)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86輯, 313~33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03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稿は近世初期、大衆のため多数の地理書や紀行文を著した貝原益軒の 知識や学問に対する考え方がどのように紀行文にて適用されたかを見て、 彼の旅する方法と意義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益軒は旅行をして学問する 方法を提示している。単なる旅行先の情報にとどまらず、旅行中に向き合
う知識をどう接するべきか、という旅行の仕方であった。 木曽地路木 と 西北紀行 を中心に記述内容を考察した結果、第一に、地方特有の地勢、
気候、土産、動植物など多様にわたって、今まで未知のものを五感を通じ
て経験してから自分の新しい知識とする。第二に、見聞にとどまらず、知
識や情報の正しさを確認するよう、綿密に観察や観測して調べ、実証を行
う。具体的には、自らの見聞や旅路中出会う地元の人々との問答など多様 な方法を通じて得られたものを体系的に整理する。また人の云う言葉を記
録しながらも、その是非を問い詰め、自分なりの見解を示す。益軒には、 旅行とは直ちに知識を拡大しながら知識の是非を確認する実践的知識行為
であったのである。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method and significance of his travels, seeing how the idea for the knowledge and study of Kaibara Ekiken(貝原益軒), who wrote many geographical books and writings for the early Edo period.
Traveling was significant for Ekiken as a practical act to ask immediately what they suspect and what they want to know and also to think for oneself. After examining the descriptions of “Kisojinoki(木曾路之記)” and “Seihokukikou(西北紀行)”, he first presents his own knowledge of experience through senses. There were a variety of local lands, climates, native products, animals and plants that he had not experienced, and these unfamiliar things were expanded into new knowledge through senses. Second, Ekiken examined and demonstrated the actuality through close observation to verify the accurac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a result, for Ekiken, it was immediately clear that the trip was an actionable knowledge act to expand and verify knowledge.
목차
1. 머리말
2. 에키켄의 학문관과 기행문에의 적용
3. 에키켄의 여행 방식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박종화의 소설 「시인」을 통해 본 아리시마 다케오(有島武郎)의 수용양상
- 神功皇后전승에 관한 고찰* - 豊玉毗売전승과 관련하여 -
- 埼玉県中部の俳額に関する一考察
-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을 활용한 수업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일어일문학 전공자를 중심으로 -
- 大陸浪人の 満蒙構想 に対する一考察* - 内田良平と川島浪速を中心として
- 話題導入と展開における自己開示
- 야마자키 안사이(山崎闇斎)의 군신관계에 대한 일본적 이해* - 구유조(拘幽操) 의 해석을 중심으로 -
- 국책영화의 정치학 - 태평양전쟁기 성숙의 프로세스 속보이스오버를 중심으로 -
- 일본과 한국의 치료내용 결정과정에서 사용되는 의사의 언어전략 - 양국의 드라마자료 대조를 중심으로 -
- 上接語からみる であれば の多機能性 - である との関連性を中心に -
- 芥川竜之介 오토미의 정조 論* - 육체적 정조를 넘어서 -
- 어휘화 레벨에 따른 일․영 오노마토피어 대응 양상 분석
- 에도시대 문학과 돌팔이 의사 소고* - 17∼18세기 산문문학을 중심으로 -
- 일본 IT 프로그래밍관련 어휘 분석 연구
- 근세 지식인 가이바라 에키켄(貝原益軒)의 기행문 속 지리지식과 여행의 의의* – 학문관과 여행 방식을 단서로 -
- 석일본기 비훈 에 가점된 한국계 고유명사의 선점(線點) 고찰*
- 続古事談 五○(第二ノ一二)に現れる 高麗朝廷による医者派遣要請と韓日交流
- 굿을 활용한 창작공연의 일본 현지화 사례연구* - 대한사람 <축문>을 중심으로
- 레이와(令和)와 만요슈(万葉集) * - 새로운 연호 성립 과정 고찰을 통해 본 일본문화론 -
- 일본어학부에서의 일본어알고리즘 IT융합교과 운영을 통한 학부경쟁력 강화 사례 연구
- 무사계급과 의제적(擬制的) 친족관계의 시대별 유형* - 가마쿠라시대와 에도시대를 중심으로 -
- 희곡 나도 모른다(わしも知らない) 론 - 1914년의 무샤노코지 사네아쓰(武者小路実篤)의 사상적 고찰을 중심으로 -
- 日本の天皇制国家形成に関する一考察* - 近․現代の天皇制を中心に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