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芥川竜之介 오토미의 정조 論* - 육체적 정조를 넘어서 -
이용수 12
- 영문명
- A Study on Otomi’s chastity by Ryunosuke Akutagawa - Beynond Physical Chastity -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申基東(Shin, Kee-Dong)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86輯, 241~26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03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稿の主な狙いは、芥川竜之介の中期短編、 お富の貞操の中心人物の お富が お上さん 寵愛の猫を救うために、乞食こと新公に 肌身を任せる 真 なる 動機を明らかにすることにある。確かに、その 動機は何だったのか というテクストの問いかけに、いくら答えを探してみてもその解答を導き出 すことは難しい という見解に否定しにくいところもある。しかしながら、 そう片付けてしまうには、題名の示唆する如く作中におけるお富の貞操の響 きが決して浅くないのも事実である。そこで作者の意図した 動機の不明確 さとは裏腹に、テキスト内における曖昧な言説に内在してある意味あるいは
論理に近づく作業は、作品世界の深層を掘り下げるという側面からして無意味とは言えまい。その際、作中の 雨と 猫という、<貞操>への一種の小
道具を見逃すわけには行かない。作品世界の中核をなしている作品の前半部
において 猫は密室的空間の台所で各々お富と新公を挑発させる装置として 働き掛けている。二つの巧みな働き掛けにより、新公の お前さんの体を借 りるぜ という要求に応じざるを得なくなった、お富にとってそれの 当然す ぎるほど当然な 動機は、彼女自身の中に体化してある奉公先への忠誠、 忠情、忠節と言うべきではあるまいか。 お富の貞操における 貞操とは単 なる性的で肉体的な純潔を越えた、精神的な貞操を意味するものとして受け
止めてよいであろう。さらにいえば、この作品はお富の貞操を通して、我ら 人間同志の各自の不確実な人生における 当然すぎるほど当然な体化してあ る価値の如何なる様を問うているものと言えよう。
영문 초록
The present article investigates Otomis’ Chastity, a short literary work written by Ryunosuke Akutagawa during the middle period of his career. In this literary work, the protagonist, Otomi, “devotes herself” to the beggar, Shinkou. Our primary goal is to reveal Otomi’s true “motive” for her behavior. It would be an undeniable fact that the issue of “what the motive was” is hardly resolved. On the other hand, the issue seems to be worthy of inquiry, because Otomi’s chastity plays a crucial role in the story, as reflected in the title. Therefore, it would be a significant task to reveal the meaning or the logic of ambiguous statements in the text since it is expected to shed light on the deeper part of the story depicted in the literary work. For this purpose, what should not go unnoticed are “rain” and “cat,” which contribute to the concept of chastity portrayed in the story. In the former part of the work, “cat” serves as a device to stir up the emotions of Otomi and Shinkou, in the closed kitchen. Due to the device, it turns out that Otomi cannot resist the demand of Shinkou, who says “Let me borrow your body.” Otomi’s “too natural” “motive” is an embodiment of her loyalty to her master. The concept of “chastity” in the work goes beyond that of sexual purity and indicates mental purity. Moreover, this literary work, through the depicted concept of Otomi’s chastity, is said to raise the issue of “too natural” value embodied in the humans in their uncertain lives.
목차
1. 들어가며
2. 비, 고양이―오토미․신공의 접점
3. 오토미의 정조
4. 나오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박종화의 소설 「시인」을 통해 본 아리시마 다케오(有島武郎)의 수용양상
- 神功皇后전승에 관한 고찰* - 豊玉毗売전승과 관련하여 -
- 埼玉県中部の俳額に関する一考察
-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을 활용한 수업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일어일문학 전공자를 중심으로 -
- 大陸浪人の 満蒙構想 に対する一考察* - 内田良平と川島浪速を中心として
- 話題導入と展開における自己開示
- 야마자키 안사이(山崎闇斎)의 군신관계에 대한 일본적 이해* - 구유조(拘幽操) 의 해석을 중심으로 -
- 국책영화의 정치학 - 태평양전쟁기 성숙의 프로세스 속보이스오버를 중심으로 -
- 일본과 한국의 치료내용 결정과정에서 사용되는 의사의 언어전략 - 양국의 드라마자료 대조를 중심으로 -
- 上接語からみる であれば の多機能性 - である との関連性を中心に -
- 芥川竜之介 오토미의 정조 論* - 육체적 정조를 넘어서 -
- 어휘화 레벨에 따른 일․영 오노마토피어 대응 양상 분석
- 에도시대 문학과 돌팔이 의사 소고* - 17∼18세기 산문문학을 중심으로 -
- 일본 IT 프로그래밍관련 어휘 분석 연구
- 근세 지식인 가이바라 에키켄(貝原益軒)의 기행문 속 지리지식과 여행의 의의* – 학문관과 여행 방식을 단서로 -
- 석일본기 비훈 에 가점된 한국계 고유명사의 선점(線點) 고찰*
- 続古事談 五○(第二ノ一二)に現れる 高麗朝廷による医者派遣要請と韓日交流
- 굿을 활용한 창작공연의 일본 현지화 사례연구* - 대한사람 <축문>을 중심으로
- 레이와(令和)와 만요슈(万葉集) * - 새로운 연호 성립 과정 고찰을 통해 본 일본문화론 -
- 일본어학부에서의 일본어알고리즘 IT융합교과 운영을 통한 학부경쟁력 강화 사례 연구
- 무사계급과 의제적(擬制的) 친족관계의 시대별 유형* - 가마쿠라시대와 에도시대를 중심으로 -
- 희곡 나도 모른다(わしも知らない) 론 - 1914년의 무샤노코지 사네아쓰(武者小路実篤)의 사상적 고찰을 중심으로 -
- 日本の天皇制国家形成に関する一考察* - 近․現代の天皇制を中心に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