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神功皇后전승에 관한 고찰* - 豊玉毗売전승과 관련하여 -
이용수 41
- 영문명
- Analysis of the Oral Traditions about Empress Jingu – A Comparison with the Oral Traditions about Toyotamabime –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진은숙(Jin, Eun-Sook)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86輯, 290~312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03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論文は、神功皇后傳承を 母子神信仰 を中心に、豊玉毗売傳承との比 較を試みたものである。即ち兩傳承を九州沿岸の 海の女神と神童の誕生 物語 ととらえて論じたものである。豊玉毗売伝承とは海幸山幸神話の後
半部におかれ、ワタツミの宮を訪れた火遠理命と結婚した海神の娘豊玉毗 売が地上世界に出現し、渚で天孫ウガヤノフキアヘズを産み落とし、本郷
へ帰還する物語である。海を光しながら渡来する豊玉毗売の姿や夫婦離
別、生まれた神童を草に包み渚に棄兒するモチーフなどを考察した結果、
海の女神の神童出産という母子神信仰をその背景にしていることが確認で
きた。即ち神功皇后や豊玉毗売の物語は、水界の女と天神の男との神婚譚 とも言える。また火遠理命が海神から授けられた二つの呪具(潮滿瓊․潮
涸瓊)は、 太平記 託宣集 八幡愚童訓 などの中世の文獻において 干珠
滿珠 說話へと變容していることも確かめられた。豊姫神功皇后妹説は記
紀系譜には見られず、民間傳承において育まれた伝承である。中世以後豊 姫は豊玉姫と混同されることもあり、以後 世田姬 與止姬 淀姫 等の神 名と混同されつつ今日にいたっている。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oral traditions about Empress Jingu, especially “worship to the goddess residing in the women’s bodies,” where Empress Jingu came back after conquering Shilla and brought her child into the world at a seashore in Tsukushi. The work is also compared with the oral traditions about Toyotamabime. They depict the story where Toyotamabime, the goddess of sea, married Horinomikoto, entered into the real world, brought Ugayanofukiahezu into the world, and then left the world. The stories about Empress Jingu and Toyotamabime are said to depict the marriage between the goddess of the sea and the heavenly god. Moreover, I also confirm that the two magical items (Shiomitsuni/Shiohiruni) which Horinomikoto received from the goddess of the sea appeared in different forms in the fables of Kanja Manja in the medieval literature. The hypothesis that Toyohime was a younger sister of Empress Jingu is not found in the genealogy, Kojiki and Nihonshoki, but it was fostered in the oral traditions. After the medieval era, Toyohime has sometimes been confused with Toyotamabime, and up until today, further confusions have occurred concerning the names of god such as “Yotahime”, “Yotohime”, “Yodohime”, and so forth.
목차
1. 머리말
2. 바다의 여신‘豊玉毗売․神功皇后’
3. 母神‘豊玉毗売․神功皇后’
4. 潮滿瓊․潮涸瓊
5. 豊姬․與止姬
6.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박종화의 소설 「시인」을 통해 본 아리시마 다케오(有島武郎)의 수용양상
- 神功皇后전승에 관한 고찰* - 豊玉毗売전승과 관련하여 -
- 埼玉県中部の俳額に関する一考察
-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을 활용한 수업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일어일문학 전공자를 중심으로 -
- 大陸浪人の 満蒙構想 に対する一考察* - 内田良平と川島浪速を中心として
- 話題導入と展開における自己開示
- 야마자키 안사이(山崎闇斎)의 군신관계에 대한 일본적 이해* - 구유조(拘幽操) 의 해석을 중심으로 -
- 국책영화의 정치학 - 태평양전쟁기 성숙의 프로세스 속보이스오버를 중심으로 -
- 일본과 한국의 치료내용 결정과정에서 사용되는 의사의 언어전략 - 양국의 드라마자료 대조를 중심으로 -
- 上接語からみる であれば の多機能性 - である との関連性を中心に -
- 芥川竜之介 오토미의 정조 論* - 육체적 정조를 넘어서 -
- 어휘화 레벨에 따른 일․영 오노마토피어 대응 양상 분석
- 에도시대 문학과 돌팔이 의사 소고* - 17∼18세기 산문문학을 중심으로 -
- 일본 IT 프로그래밍관련 어휘 분석 연구
- 근세 지식인 가이바라 에키켄(貝原益軒)의 기행문 속 지리지식과 여행의 의의* – 학문관과 여행 방식을 단서로 -
- 석일본기 비훈 에 가점된 한국계 고유명사의 선점(線點) 고찰*
- 続古事談 五○(第二ノ一二)に現れる 高麗朝廷による医者派遣要請と韓日交流
- 굿을 활용한 창작공연의 일본 현지화 사례연구* - 대한사람 <축문>을 중심으로
- 레이와(令和)와 만요슈(万葉集) * - 새로운 연호 성립 과정 고찰을 통해 본 일본문화론 -
- 일본어학부에서의 일본어알고리즘 IT융합교과 운영을 통한 학부경쟁력 강화 사례 연구
- 무사계급과 의제적(擬制的) 친족관계의 시대별 유형* - 가마쿠라시대와 에도시대를 중심으로 -
- 희곡 나도 모른다(わしも知らない) 론 - 1914년의 무샤노코지 사네아쓰(武者小路実篤)의 사상적 고찰을 중심으로 -
- 日本の天皇制国家形成に関する一考察* - 近․現代の天皇制を中心に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