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휘화 레벨에 따른 일․영 오노마토피어 대응 양상 분석
이용수 9
- 영문명
- Analysis of the Correspondence of Japanese Onomatopoeia to English According to the Lexicalization Level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장진영(Jang, Jin-Young)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86輯, 115~13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03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論文では日本語のオノマトペが英語に翻訳される場合、語彙化のレベ
ルが低い擬音語の場合は引用、または、音象徴性を持つ動詞と対応してい ることに対して、語彙化のレベルが高くなるにつれ動詞、形容詞、副詞、
説明的語句などいろいろな表現と対応していることを調べてみた。
まず、レベル1のオノマトペの場合、英語のオノマトペと対応するの はあまり現れていないし、大抵音象徴性を持つ動詞、または、説明的語
句と対応をなしている。また、レベル2のオノマトペは擬音語と擬態語の 意味を同時に持っているので英語の音象徴性を持つ動詞と対応する場合
が多かった。レベル3のオノマトペは擬音語から擬態語への意味拡張が現 れているが、擬音語の場合は と 型であり、この場合対応する英語の表現は音象徴性を持つ動詞、または、説明的語句と対応をなしている。ま た、擬態語に意味拡張した に 型の場合は特定動詞と対応せず多用な形式と対応している。レベル4のオノマトペは擬態語内部の意味拡張である
ので、文脈によって多様な形式と対応している。これはレベル5の擬情語 も同様である。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veal that translations take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the lexicalization level when Japanese onomatopoeia is translated into English. Giongo, which has a lower lexicalization level, is mostly used in quotations and verbs with sound symbolism. As the lexicalization level gets higher, it is used diversely as a verb, an adjective, an adverb, a phrase, etc. In the case of level 1 onomatopoeia, they rarely correspond to English onomatopoeia, and most of them are used in the verbs with sound symbolismor descriptive phrases. In the case of level 2 onomatopoeia, they are used as giongo and gitaigo at the same proportion, and many of them correspond to the verbs with sound symbolism. In level 3 onomatopoeia, there is an extension of meaning from giongo to gitaigo. Giongo takes the affix to and corresponds to the English verbs with sound symbolismor descriptive phrases. Gitaigo with the affix ni, whose meaning is extended from giongo, does not correspond to any specific verbs but various parts of speeches. Due to the meaning extension within the gitaigo, level 4 onomatopoeiais used in diverse parts of speech according to the context.
The same is true of level 5 onomatopoeia.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의 검토 및 문제제기
3. 일․영 오노마토피어 대응 형식
4. 일․영 오노마토피어 어휘화 단계별 대응 양상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박종화의 소설 「시인」을 통해 본 아리시마 다케오(有島武郎)의 수용양상
- 神功皇后전승에 관한 고찰* - 豊玉毗売전승과 관련하여 -
- 埼玉県中部の俳額に関する一考察
- 캡스톤 디자인 교육과정을 활용한 수업모형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 일어일문학 전공자를 중심으로 -
- 大陸浪人の 満蒙構想 に対する一考察* - 内田良平と川島浪速を中心として
- 話題導入と展開における自己開示
- 야마자키 안사이(山崎闇斎)의 군신관계에 대한 일본적 이해* - 구유조(拘幽操) 의 해석을 중심으로 -
- 국책영화의 정치학 - 태평양전쟁기 성숙의 프로세스 속보이스오버를 중심으로 -
- 일본과 한국의 치료내용 결정과정에서 사용되는 의사의 언어전략 - 양국의 드라마자료 대조를 중심으로 -
- 上接語からみる であれば の多機能性 - である との関連性を中心に -
- 芥川竜之介 오토미의 정조 論* - 육체적 정조를 넘어서 -
- 어휘화 레벨에 따른 일․영 오노마토피어 대응 양상 분석
- 에도시대 문학과 돌팔이 의사 소고* - 17∼18세기 산문문학을 중심으로 -
- 일본 IT 프로그래밍관련 어휘 분석 연구
- 근세 지식인 가이바라 에키켄(貝原益軒)의 기행문 속 지리지식과 여행의 의의* – 학문관과 여행 방식을 단서로 -
- 석일본기 비훈 에 가점된 한국계 고유명사의 선점(線點) 고찰*
- 続古事談 五○(第二ノ一二)に現れる 高麗朝廷による医者派遣要請と韓日交流
- 굿을 활용한 창작공연의 일본 현지화 사례연구* - 대한사람 <축문>을 중심으로
- 레이와(令和)와 만요슈(万葉集) * - 새로운 연호 성립 과정 고찰을 통해 본 일본문화론 -
- 일본어학부에서의 일본어알고리즘 IT융합교과 운영을 통한 학부경쟁력 강화 사례 연구
- 무사계급과 의제적(擬制的) 친족관계의 시대별 유형* - 가마쿠라시대와 에도시대를 중심으로 -
- 희곡 나도 모른다(わしも知らない) 론 - 1914년의 무샤노코지 사네아쓰(武者小路実篤)의 사상적 고찰을 중심으로 -
- 日本の天皇制国家形成に関する一考察* - 近․現代の天皇制を中心に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