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Applying Sampling Weight to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정혜경 김희경 김명화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32권 제1호, 107~13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표집 체제 전환에 따른 교육통계․측정학적 측면에서 표본자료의 대표성 제고를 목적으로 학업성취도 평가의 2단계 층화군집 표집설계에 기반한 가중치 산출 방안을 마련하고 그 실효성을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학업성취도 평가의 가중치 산정을 위해 학교-학급-학생 자료 구조를 반영한 기본 설계 가중치, 이상 가중치 절삭, 사후층화 보정 방법을 적용하였다. 전반적으로 가중치를 적용한 국가수준 평가 결과는 가중치 미적용 결과에 비해 전수 결과에 좀 더 근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개선점으로 하위집단별(예, 시․도교육청별×지역규모별) 평가 결과를 산출하고자 할 경우 표집설계를 수정하여 이를 가중치 산정에도 반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복잡한 표집설계를 반영한 국가단위 조사 연구 및 결과 산출을 고려하는 국내 교육연구자들에 실증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As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was converted into the sampling tes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mprove the representativeness of NAEA sample data by applying the sample weight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 method of calculating the weight based on the two-stag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design of the NAEA was prepared by applying the weight calculation in the basic design, the outlier weight trimming, and the post-stratification. As a whole, the results based on the weighted sample data appeared a bit closer to the census results in comparison to the corresponding ones from the unweighted sample data. However in order to yield proper NAEA results for sub-populations (e.g., local educational offices × urbanicity), sampling designs should to be revised, along with application of the new sampling design into the weight calculation. The study results provide empirical information for educational researchers who purse national level survey studies with a complicated sampling desig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평가연구 게재 증명서
- 교사별 과정 중심 평가 도입시 필요 사항, 우려 사항, 기대가 도입 의견에 미치는 효과
- Bifactor 모형의 잠재평균 분석에 대한 부분 절편동일성 수준의 영향
- Q행렬 오지정 및 인지요소 위계구조가 인지진단모형 추정 양호도에 미치는 영향
- 문항특성곡선의 비대칭성이 문항정보함수 추정에 미치는 영향: 모의실험을 통한 RH, 2PL, 3PL IRT 모형의 비교를 중심으로
-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한 진로성숙도 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후기 청소년기부터 초기 성인기까지
- 「교육평가」 수업 사례 분석
- MIRT 이요인(bi-factor) 3모수 모형을 위한 공통-문항 척도연계 방법
- 다양한 분할 잠재성장모형 비교
- 인지진단이론과 컴퓨터화 검사를 이용한 형성평가 피드백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한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도 변화 유형과 특성 분석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표집자료 가중치 적용 사례
- 수행평가 계획서에 나타난 과제와 채점기준표의 적절성 분석 -D광역시 중학교 3학년 국어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